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금까지의 논의에서는 강경애가 1931년 6월 처음으로 간도에 간 것을 첫 만주행으로 보았다. 다시 말하면 강경애에게 있어서 만주 체험과 간도 체험은 동일한 것으로 본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1924년 9월부터 1931년 6월 사이의 행적에 대한 재고를 통하여 강경애의 만주 체험에는 간도 체험뿐이 아니라 북만 체험도 포함됨을 알 수 있었다 . 강경애의 ‘만주’ 체험의 문학적 성과는 주요하게 간도 배경 소설을 통하여 나타난다 . 일제의 토벌에 의한 간도의 참상과 혼란 속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민중을 지켜보는 지식인의 자아반성이라는 현실 인식과 자아 인식의 진일보한 발전 , 변화가 곧 강경애의 전반기 간도 배경 소설이다. 계속되는 일제의 토벌에 의하여 항일운동세력이 차츰 위축되어가자 강경애의 시선은 사회적 문제에서 개인적 문제로 옮겨가기 시작한다 . 후반기의 간도 배경 소설은 남편 장하일을 통해 본 주변의 실재한 사실들을 통하여 1920년대 후반의 활발한 항일운동의 존재를 확인함과 동시에 일제의 강력한 탄압 아래에서 사회주의자들이 선택한 부동한 삶의 방식을 보여준다 .


Experience in Manchuria and the Literature of Kang, Kyeong-Ae( 姜敬愛); Choi, Hak-SongKang Kyung-Ae’s first trip to Jiandao in Jun. 1931 has been considered as her first visit to Manchuria. That is to say Kang Kyung-Ae’s Experience in Jiandao and in Manchuria has been considered as the same thing. In this paper, Kang Kyung-Ae’s lifetime during Sep. 1924 and Jun. 1931 is considered. As a result, we can know that besides Jiandao, her experience in North Manchuria is also included in her Experience in Manchuria. Her works based on her experience in Manchuria are mainly with the background of Jiandao. Her first novels with the background of Jiandao tell about intellectuals’ self-examination, who have been watching the miserable life of the p e o p l e . A s a n t i - J a p a n e s e m o v e m e n t s s h r i n k i n g , K a n g K y u n g - A e b e came interested in individual matters rather than social matters. Her latter novels with the background of Jiandao not only confirm the activity of anti-Japanese movement, but also show various life style of ideologist of soc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