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북베트남과 한국 (남북한 및 중국조선족 )의 주요 베트남전쟁시를 통하여 ‘동아시아 문학의 연대 ’라는 테마를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 베트남전쟁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 전개되었는데 , (1) 프랑스 군대와의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1946.12.9~1954.5. 7)’, (2) 인도차이나 문제에 본격 개입한 미군과의 전쟁 (1964.8~1973.1)이 그것이다. 1950년, 서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 이에 따라 양국 간 문학교류도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 이런 현상은 특히 지리적 이념적으로 북한과 밀착된 중국조선족 시단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 한국(남한) 현대시와 베트남과의 왜곡된 해후는, 미국 매개의 ‘베트남전쟁 참전(1964.5.9~1975.4.30)’으로부터 비롯되었다. 북베트남북한 및 중국조선족 쪽에서 산생된 작품들은 대체로 단색적 구호의 ‘반불반미 아지※이 논문은 <인하대 BK21 동아시아 한국학 교육 연구 및 네트워크 사업단 제 2차 국제학술대회> .동아시아 세계의 한국학 -문학역사철학종교 분야에서의 연구 주제와 전망.(베트남 호치민시; 2007.2.8~2.9)에서 발표한 것을 수정 보완한 것으로, “인하대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베트남전쟁과 동아시아 문학의 연대 477프로시’로 복무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 그나마 양적 빈곤상태에 처한 남한의 그것은 아쉽게도 베트남전쟁의 실체적 의미를 평면적으로 형상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음이 확인되었다 .


This paper examined 'East Asian literary joint' through major poems about Vietnam War in North Vietnam and South & North Korea including Korean emigrants to China in a general way. Vietnam War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stages, i.e., (1) 'The first Indo-China war with France' (1946, 12.9-54. 5. 7) and (2) The war with the United States which intervened in matters involving Indo-China. In 1950, as socialist states, North Korea and North Vietnam established a formal diplomatic relationship, which led to active literary exchanges between the two nations. The same trend in literary exchanges also occurred between North Vietnam and a group of Korean emigrants to China who was close to North Korea both geographically and ideologically. A distorted meeting between modern poems in South Korea and Vietnam originated from South Korea's participation in Vietnam War intermediated by the U.S. Literary works created in North Vietnam, North Korea and a group of Korean emigrants to China were poems agitating 'anti-France or anti-America' as single, monotonous mottos, and proved to remain on a level of expressing the substantial meaning of Vietnam War on a plane engaged by South Korean which suffered quantitative pov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