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암 박지원(燕巖 朴趾源 : 1737~1805)의 글쓰기는 자연과 깊은 관련을 맺고있다. 연암은 자연을 글쓰기의 원천으로 보아 자연과 교감하고 조응하는 과정에서 예술이 창조된다고 보았다. 또 연암은 예술 창작의 주체가 자연의 본질과 합일되는 순간 주체가 곧 예술이 된다고 하여 , 자연을 글쓰기의 도달점으로 보았다 . 연암은 글쓰기와 자연을 조응시키는 방법으로 의인화와 의물화 (擬物化)를 사용하였으며 형상화 기법을 다각적으로 활용하였다. 자연이 원천적 텍스트라는 사고는 연암의 교유문인에게 공유되었으며 , 후대 문인에게서도 나타나고 있다 .연암은 자연을 글쓰기의 원천이자 도달점으로 인식하였다 . 이러한 인식은, 형상화의 측면에서는 생기발랄하고 생동감이 넘치는 언어의 쇄신을 일으켰고 , 사상의 측면에서는 대상의 본질을 추구하는 모색으로 이어졌다 . 연암의 글쓰기가 상투성과 진부함을 깨뜨린 연암의 글쓰기는 자연과 글쓰기의 교감과 합일을 지향한 그의 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


Yeun-am(燕巖) Pack Ji-won(朴趾源) connects writing and nature closely. He cognizes that nature is the origin of writing. So, he thinks when the subject joins nature, art is created. And he considers if the subject unites with nature, the subject would be art. It is the recognition that nature is the tidemark of writing. Yeun-am makes ful use of multilateral writing techniques. He often uses personification, which is a writing technique that connects writing and nature. His recognition of writing and nature belongs to his friends and generation.Yeun-am sublates a hackneyed expression and stereotyped phrases. The nature is finely imaged in his writing. At the same time, he pursues the object’s essence. He wants to renovate writing, so he gropes refreshment of language and writing. New writing of Yeun-am is closely conected with his recognition of writing and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