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인문사회학의 제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로컬리티’(locality) 개념의 발생사를 살피고, 이를 한국근대문학 연구의 방법론으로 수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전제와 그 적용에서 얻을 수 있는 시각적 전환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로컬리티가 특정 지역에 대해 소속감을 공유한 일원들에 의해 형성된 집단의식이며, 이때 ‘로컬’은 보다 상위 집단인 국가(민족) 공동체의 미래를 획득하기 위해 경쟁하는 헤게모니 투쟁의 단위가 된다고 보았다. 로컬은 언제나 중심을 향하는 ‘탈-로컬(beyond-local)’의 욕망을 지니기에, 로컬의 윤리적 자질은 비단 그 주변성만으로 확보되지 않는다. 그것은 로컬이 제시한 공동체적 이상이 기존 중심의 모방을 떠나 얼마나 새로운 중심의 형상을 제시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하고, 이에 비로소 단순한 지역주의(localism)와 생산적 로컬리티(locality)를 구분하여 논의할 수 있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는 로컬을 좁게는 개인에서 넓게는 국가에 이르기까지 다만 상대적인 중층성을 속성으로 하는 관계적 개념으로 해석해온 관행을 벗어나, 연구 단위로서의 로컬은 어디까지나 그 위계상 개인과 국가 사이에 위치하는 ‘지역(province)’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일차적으로 로컬이 기존 탈식민주의 방법론의 ‘하위주체’라는 개념과 혼용되면서 일종의 수사(修辭)로 전락할 가능성을 경계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근본적인 목적은 민족국가의 ‘지리적 신체’(geo-body)가 국가의 영토라는 균질한 공간을 단위로 하여 논의되곤 하는 상황에서, 로컬이 그 시각의 전환을 이끄는 개념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는 데 있다. 식민지 시기, 사실상 국가 없는 민족을 지탱한 ‘상상된 단일성’은 비단 한반도뿐만 아니라, 이민·유학·망명 등을 계기로 나타난 디아스포라 현상과 그 이동의 루트에 생겨난 ‘로컬 간의 네트워크’로 인해 가능한 일이었다. 이때 로컬리티 연구는 ‘고향’이라는 심정적 중심에 대한 논의로 환원되곤 하는 기존 민족주의문학 연구의 관점을 해당 로컬들이 내세운 정치사회적 이상 간의 차이와 경쟁의 구도 속에서 살펴볼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근대 민족주의 운동의 구심점이 되었던 한반도의 서북지역, 특히 평안도 평양 지역의 문화운동을 사례로 이상의 내용을 논의하였다. 로컬은 어떤 방식으로든 중심이 되는 순간 로컬이라는 명명과 그 자질을 잃는다. 즉 로컬은 언제나 중심을 향한 이상을 과제로 제출하고 그것을 실현하는 과정 속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과정적 중심’들이고, 미래를 선취하려는 경쟁 속에 놓인 가능성들의 인자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움직이는 중심’들이다. 이에 로컬리티 연구는 고정된 중심-주변 구도를 추인하는 작업이 아니라 수많은 중심의 구상이 시도되고 좌절되었던 흔적을 논의하는 작업이며, 이로써 지역사의 수준을 벗어나 시대사적 의의를 확보하게 된다.


This paper ponders over premises which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introduce the concept of ‘locality’ widely used in several fields of humanities and sciences. First, it identifies problems which can arise when ‘local’ is treated in the same stratum as the subaltern of post-colonial theories. When local is locked in the fixed frame of the center and the margin, it might simply affirm perception that it belongs to the marginal section. Even though local retains desire to negate something local, its marginal features is naturally construed as ethical superiority, and consequently local itself can be easily mystified. Accordingly, this paper highlights that local is formed by those members with a shared sense of belonging and that local constitutes specific unit of collective hegemonic struggles for securing the future of national (ethnic) community. Local’s desire for ‘beyond-local’ always tends to head toward the center. Here, local should propose an ideal for community distinct from existing logic of authoritarian regime, thereby drawing a distinction between dimensions of simple localism and productive locality. As part of case studies, this paper analyzes the cultural movement prevalent in northwestern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Pyeongyang in Pyeongan Province, which became the spiritual epicenter for Korean nationalists at the forefront of the movement of power establishment in the modern era of colonization. Second, this paper addresses problems associated with specific interpretation of ‘local’ as the concept of relatively middle stratum ranging from nation to individual. As specific unit of study,‘local’ covers ‘province’ located between individual and nation. In other words, it can overcome individual fragmentation and national abstractness, thereby delivering the narrative of community grounded upon concrete life experiences. Moreover, it implies that an isolated community can exist within the nation spearheading the value of unity. In particular, when Korea was colonized by Japan, ‘local’ network worldwide underpinned ‘imaginative unity’ as numerous Koreans experienced exile or emigration to China, U.S., or Japan in the absence of their sovereign state. Such perspective can shed new light on discussion about nationalist literature in the era of colo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