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7세기에 조선사회를 관통했던 열녀 담론은 節死한 열녀이다. 국가-남성은 자신들의 지배논리를 강화하기 위해 절사한 열녀를 양산해 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 등을 통해 열녀를 계몽하고자 했고, 그에 따라 烈女傳과 같은 문학작품에서는 이에 부응하는 열녀의 행위를 입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實記도 이에 벗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小說에서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척전』의 옥영, 『동선기』의 동선, 『한강한전』의 이씨는 전란의 참상을 겪은 인물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열녀담론에서 형성된 節死로 목숨을 버려야 하는 상황도 공통적으로 경험한 인물이다. 그런데 이들 소설의 여주인공은 죽지 않았다. 열녀담론이 무성한 현실에서 절사에 대한 회의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 반향을 일으켰던 것이다. 『최척전』은 살생을 금하고 있는 불교적 입장을 끌어들임으로써 유교적 질서를 위해 죽음까지도 찬양해야 되는 당대의 열녀 이데올로기에 정면으로 대응한 것이다. 『동선기』의 주인공은 선계에서의 영생을 꿈꾸었던 바, 인간의 삶을 억압하는 유교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거부가 도선적 삶의 지향으로 나타난 것이다. 『한강한전』은 從死에 의한 열녀의 형상보다는 가문을 위한 여성의 형상으로 만들었다. 조상 제사와 자손 번성이라는 현실적 목적을 위해 죽음은 유예되었고, 대신 강하고 책임감 있는 여성 형상을 만들었던 것이다. 옥영과 동선의 인물 형상을 통해서 경직된 이데올로기의 무비판적 수용에 대한 비판의식과 함께 생명 존중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반면에 이씨의 인물 형상을 통해서는 유교적 이데올로기에 복무하는 여성상을 만날 수 있다.


Virtuous woman discourse during the 17th century in Joseon was about virtuous women who died with integrity. The society tried to enlighten virtuous women through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so literary works such as the biography of virtuous women as well as silgi(veritable records) often included action of virtuous women. However, fictions showed different aspects. Okyung on 『Choi-cheok-jeon』, Dongseon on 『Dong-seon-gi』 and Mrs. Lee on 『Hangang-han-jeon』 were supposed to give up their lives after their husbands’ death but they did not. Skepticism on those wives’ death of integrity in the society, where virtuous women discourse is dominant, brought sensation in each different direction. Bringing Buddhist perspective of forbidding taking lives, 『Choi-cheok-jeon』 faced an ideology of virtuous women that even death is allowed for the rules of Confucianism at that time. A main character of [Dong-seon-gi] dreams of eternal life in heavens, and the rejection of Confucian ideology that suppresses human life was expressed in the aim for Taoistic life. [Han-gang-han-jeon] described a form of women for the family rather than the form of virtuous women who died as following their husbands’ death. Death was postponed for realistic goals such as ancestral rites and having offspring but instead the form of strong and responsible women was made. Along with critical consciousness on unquestioning acceptance of rigid ideology through forms of characters of Okyung and Dongseon, the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life was shown. On the other hand, the form of character of Mrs. Lee showed an image of women who followed Confucian id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