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박태원의 『천변풍경』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발전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텍스트에 대한 정치한 분석과 그에 근거한 작품 해석이 요청된다. 『천변풍경』은 추상화된 시간과 좁혀진 공간을 배경으로 하여 보편적인 일상사를 그리고 있다. 정치적, 계급적인 관계망 바깥의 수많은 중산층 및 서민들을 설정한 위에 긍정적인 인물군을 중심으로 다사다난한 일상사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복합적인 면모를 갖춘 서술자가 등장하여 주요 서브스토리들의 교차적인 구성방식과 비초점화된 복합적 진술방식, ‘행복’ 등의 추상적 관념에 닿아 있는 서술초점 설정 방식을 구사한다. 그 결과로 『천변풍경』은 불행한 세태에 대한 객관적 재현과 그 속에서조차 긍정성에 주목하는 서술자-작가의 의도에 따른 주관적 변형이 혼재된 양상을 띤다. 그러나 재현보다는 변형, 서술방법보다는 의도적인 서술초점 설정이 우세하여, 이 작품의 다양한 주제효과의 바탕에는 일상의 세태에 대한 근본적인 긍정이 깔려 있다. 이렇게 현실 바깥의 풍속을 스스로 체현했다는 데서 『천변풍경』의 문학사적 위상이 마련된다.


Strict scrutiny and interpretation of the text of "CheonByeonPungKyeong"[川邊風景] are necessary to solve and sublate some significant polemics about this work. This novel shows the figuration of everyday lives on the background of abstracted time and narrowed space. Event after event takes place amongst numerous middle and lower classes, especially the groups of affirmative main characters. This is displayed by the narrator possessing complex aspects, who makes main sub-stories appear by turns, uses 'unfocused complex utterance' and puts the focus of narration on such abstract concepts as happiness, peace or hope. As a result, this novel shows on the one hand the objective representation of everyday lives full of agony and happiness or misery, and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ive variation made by the narrator-author's intention of focusing on the affirmative aspect of those everyday lives. It can be said that the various thematical effects of this novel appear on the basis of a fundamental affirmative acceptation of everyday lives; for the subjective variation and the intention of deciding focus are more prevalent than the objective representation and the narrating method.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CheonByeonPungKyeong"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derives from the fact that this novel itself embodies everyday lives in such fash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