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 가운데에 살아 있는 과거”, 이 말은 1939년 2월 18일에 임화가 한 말이다. 중일전쟁을 맞이한 상황에서 급작스럽게 불어 닥친 전환기적 의식은 당시 수많은 문학자들에게 ‘역사에의 의식’을 고민하게 했다. 임화의 논의에서 핵심은 ‘현재’이다. ‘과거’가 역사가 되기 위해선 미래를 위한 현재가 과거(역사적 과거)와 이어져야만 한다. 문제는 이처럼 ‘과거-현재-미래’로 이어지는 ‘시간’의 종합이 결국 ‘정치’가 된다는 데 있다. 이때 본고는 1939년 전환기적 시대위에서 발현된 이와 같은 역사ㆍ시간 의식이 해방 후, 임화를 비롯한 조선문학가동맹에게서 더욱 명확한 모습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는 데 주목하고자 한다. 중요한 것은 정황이다. 1946년 5월을 지나 9월, 10월이 지난 이후 조선문학가동맹에게 ‘3ㆍ1운동’은 이전과는 다른 운동이 된다. 임화가 말했던 ‘특이한 정황’이 다가온 것인데, 그 정황의 중심에 1946년 10월 1일에 일어난 ‘10월 인민항쟁’이 있다. 우선 본고는 ‘10월 인민항쟁’이 ‘3ㆍ1운동’과 같은 해방운동으로 승격되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소련의 ‘10월 혁명’이 신화화 되는 과정과 비교해 살펴본 후 ‘3ㆍ1운동’이 소환되는 방식을 알아볼 것이다. 여기서 ‘과거-현재-미래’는 단선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세 시간의 핵심은 ‘현재’에 있다. 이때 ‘시간의 정치학’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명확하다. 주체는 결코 단 하나일 수 없다. ‘10월 1일’에 발생한 사건의 주체에 조선문학가동맹이 있느냐, 당시의 수많은 노동자와 농민이 있느냐에 따라 당시의 사건은 폭동이 될 수도 있고 항쟁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은 해방공간에서 조선문학가동맹이 보인 행적을 이해하고 앞으로 그들의 작품을 새롭게 읽는 데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앞으로 이념문학으로 정리되던 작품을 다시 읽을 수 있는 틀이 될 것이다.


"The past alive in the middle of the present". This word was said by Yim, hwa in February 18th 1939. The sudden transitional consciousness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Sino-Japanese War made a number of literary men think over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key of Yim, hwa's discussion is 'the present'. For making 'the past' pass into history, the present for the future must be linked with the past(historical past). The problem is that the synthesis of 'time' represented by 'past-present-future' develops into 'politics', in the end. He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is historical and time consciousness express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1939 began to more clearly revealed in Chosun-Munhakga-Dongmaeng, including Yim, hwa. The important thing is a circumstance. After May 1946, and September and October, the '3ㆍ1 Movement' became a different movement to Chosun-Munhakga-Dongmaeng. The 'unprecedented circumstance' mentioned by Yim, haw approached and the 'People's Uprising' happening in October 1st 1946 was in the center of the circumstance. This study firstly compares this with the mythification process of the 'Russian Revolution in October' to see how the 'People's Uprising in October 1946' was upgraded to the liberation movement like the '3ㆍ1 Movement' and then considers the way in which the '3ㆍ1 Movement' was recalled. Here, 'past-present-future' have no unilinear connection. The key of the three times is 'the present', ultimately. This time, what the 'politics of time' says, is definite. It is impossible that there is only one subject. The event of the times can be a struggle, or riot, depending on whether the subjects of the event in 'October 1st' were Chosun-Munhakga-Dongmaeng, or numerous laborers and farmers. This perspective will not only help in understanding the traces of Chosun- Munhakga-Dongmaeng in the liberated space and newly reading their works but also serve as a framework for reading the works regarded as ideologic literature ag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