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하동에서 생산된 녹차의 사료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먼저, 하동에서 생산되는 녹차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항산화 활성 및 항균성활성 분석을 행하였으며, 녹차는 조단백질을 20%이상, 조섬유를 약 19% 함유하고 있으며, 높은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보였다. 68주령 하이라인브라운 레그혼 96수를 개체별 케이지에 수용하여 8주간의 사양실험을 수행하였을 때, 사료에 첨가된 녹차(1% 까지)는 산란계의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및 헨데이 난생산성(%)에 대한 영향이 없었다. 녹차는 급여 3-4주에 일시적으로 정상란의 산란율을 감소시켰고, 5-6주에 난중을 증가시켰다. 급여후기에 계란의 신선도(Haugh unit)의 감소를 지연시켰다(P<0.05). 녹차 급여는 난각강도와 무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료 중 녹차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혈중 creatinine 과 amylase의 농도와 칼슘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는 하동녹차는 산란계의 사료에 충분히 이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green tea, produced in Ha-Dong County, as feed ingredient. First, proximate analysis, an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determined for green tea. Green tea contained >20% crude protein and about 18% crude fiber and showed a strong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n, the effects of dietary green tea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were examined using 96 Hy-Line Brown Leghorn laying hen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corn-soy based diets containing green tea at 0, 0.4, and 1.0% for 8 weeks. Profiles of blood biochemicals were determin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Dietary green tea up to 1% did not affect performance and significantly delayed reduction in Haugh unit (P<0.05). Furthermore, serum concentrations in creatinine, amylase, and calci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een tea-fed hens (P<0.05). In conclusion, green tea produced in Ha-Dong is suitable as feed ingredient in laying h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