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개화기 서양인들의 관찰 속에 드러난 한국어의 음운론적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음운목록 및 그 음가는 현대국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모음의 음가를 면밀하게 검토해 본 결과 ‘외, 위’의 음성 실현은 단순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음운배열과 관련된 특징으로 3가지를 검토한다. ㉮ 음절말의 ‘ㅅ’은 ‘ㄷ’으로 발음되지만 또다른 ‘ㅅ’이 후행하면 ‘ㄷ’이 아닌 ‘ㅅ’으로 발음된다. ㉯ 음절말의 ‘ㄹ’은 후행음절이 ‘ㅎ’으로 시작할 때 ‘r’로 실현된다. ㉰ 음절말 자음군으로 ‘ㄺ, ㄼ, (ㄻ)’이 가능하다. 특징적인 음운과정으로 ‘움라우트, j계 상승이중모음의 변화’을 검토한다. 먼저 움라우트형이 ‘Vi’로 표기된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는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및 움라우트의 성격 규정과 관련해서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 다음으로 j계 상승이중모음은 변자음 뒤에서는 단모음으로 축약되며 ‘ㅅ, ㅈ’ 뒤에서는 탈락하는 변화가 꽤 활발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Korean phonological features revealed by several westerners' observations at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respect to phonological inventory and phonetic values of phonemes, Korean of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nd Current Korean are much alike. Phonotactic features are as follows; ⓐ Syllable-final consonant 'ㅅ(s)' has, generally, the sound of 't', but it becomes 's' before another 's'. ⓑ ‘ㄹ(l)’ has the sound of [r] when between a vowel and the ‘ㅎ(h)’. ⓒ As finals, double consonants are possible: lk, lp, and (lm). As characteristic phonological process, there are 'umlaut' and 'change of j-type rising-diphtho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