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천향경절》은 중추절을 맞아 중국의 천자에게 길상을 빌고자 단계(丹桂)를 바치러 간다는 기본적인 줄거리 아래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남녀상열지사, 미얀마와 태국 간의 분쟁 등 다양한 에피소드로 구성된 청대 궁정희 극목이다. 본고는 일각에서나마 이전 시기와는 비교할 수 없는 거대한 규모와 화려한 연출기법을 선보이는 청대 궁정희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등장인물 및 물량의 대량화, 무대 장치 및 효과의 다변성 측면에서 《천향경절》의 연출기법을 분석하고, 화려하고 대규모화된 공연 연출을 통한 ‘중화(中華)’ 이데올로기의 재현이 바로 궁정 연극의 궁극적 지향이었다는 함의를 추출하였다.


.


《천향경절》은 중추절을 맞아 중국의 천자에게 길상을 빌고자 丹桂를 바치러 간다는 기본적인 줄거리 아래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남녀상열지사, 미얀마와 태국으로 가시화된 국가 간의 분쟁 등 다양한 에피소드로 구성된 청대 궁정희 극목이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된 적 없는 《천향경절》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당시 궁정 연극의 연출 기법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천향경절》의 정확한 창작 시기를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다양한 형태의 무대 지시문들을 통해 볼 때 삼층대희대에서의 공연을 염두에 두고 개편된 극본임을 분명히 할 수 있었다. 《천향경절》은 당시 궁정희의 규모와 무대 연출 등의 실제 양상을 잘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희곡사상 이전 시대와는 견줄 수 없는 거대한 규모와 화려한 연출기법을 중심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천향경절》에서 부각되는 등장 인물 및 물량의 대량화, 무대 장치 및 효과의 다변성 측면에서 연출기법을 분석하고, 그 함의를 추출하였다. 특히 무대 연출의 실제를 살펴보기 위해 크고 작은 각종 도구들의 운용 양상과, 도르래나 로프와 같은 각종 기계 장치를 활용한 삼층 무대에서의 상하 이동 양상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으며, 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특수효과에 관한 내용도 함께 다루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천향경절》은 무대와 연출이라는 觀賞性이라는 측면에서의 형식적 의미와, 희대를 통해 신성의 세계를 인간 세상에 예술적으로 승화해 냄과 동시에 이를 다시 이데올로기적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觀念性 측면에서의 내용적 상징 두 가지 의의를 갖는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화려하고 대규모화된 공연 연출을 통한 ‘中華’의 재현이 바로 궁정 연극의 궁극적 지향임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