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사에서 파생된 행위명사의 의미와 그 의미구조를 분석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는 파생명사에 나타나는 의미의 ‘과정성 – 비과정성’이다. 그런데 이 과정성의 의소는 바로 파생모어로 기능하는 동사의 어휘의미에서 비롯되는 것으로서 비과정성과 더불어 행위명사의 의미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위명사를 세 가지 유형의 의미그룹, 즉 1) 순수한 과정의 의미만을 지니는 명사들, 2) 과정의 의미와 함께 비과정의 의미를 동시에 가지는 명사들, 3) 과정의 의미를 완전히 상실하고 구체적인 대상의 의미만을 가지는 명사들의 그룹으로 나누어 이들 행위명사의 의미와 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사의 의미가 지니는 의미적 상관성은 물론 파생명사의 의미구조를 심층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행위명사의 의미적 특성은 무엇보다도 그 파생모어로 기능하는 동사가 가지는 어휘의미적 특성, 즉 과정성이 어느 정도 반영되는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기술하였다. 여기에서 행위명사의 어휘의미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과정성-비과정성은 바로 파생모어인 동사의 과정성이 반영되는 정도에 따라, 즉 얼마만큼 강력하게 동사의 행위가 행위명사에 반영되는가에 따라서 달라지며, 그 결과 행위명사는 과정, 과정과 구체적인 대상, 그리고 대상만을 지칭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행위명사의 한 특성으로 나타나는 부차적인 의미, 즉 비과정적 의미를 다시 추상적인 대상과 구체적인 대상으로 세분하여 그 의미구조는 물론, 그것이 동사와 가지는 의미적 파생 메커니즘도 살펴보았다. 결국 행위명사의 의미를 그 한 특성으로 나타나는 과정성에 근거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들 행위명사가 파생모어인 동사와 가지는 의미적 상관성은 물론, 행위명사의 의미구조, 부차적인 대상의 의미, 그 통사적 특성 등을 정확하게 포착하여 기술할 수 있다.



В анализе семантической структуры отглагольного имени действия наиболее важную роль играет оппозиция «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ь – не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ь» семантики производного имени. Однако, сема 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и исходит из лексического значения его производящего слова - глагола и составляет семантическую основу отглагольного имени действия вместе с не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ью. В данной статье мы делили отглагольные имени действия на три группы: 1) имени с чистой 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ью, 2) имени с 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ью и не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ью, 3) имени, которые полностью утратили 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ь и содержат в себе только предметность. Далее мы рассмотрели соотносительность значения глаголов и их отглагольных имен действия и проанализировали семантическую структуру последних. Мы проанализировали, как различается лексическое значение отглагольных имен действия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того, насколько отражена в нем 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ь. Т.е. по нашему мнению, степень 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и/ не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и отглагольных имен действия обусловливается тем, насколько отражается акциональность глаголов в отглагольных именах действия. В данной статье мы делили вторичное значение отглагольных имен действия, т.е. их непроцессуальное значение на абстрактный предмет и конкретный предмет, и на основе этого рассмотрели их семантическую структуру и механизм семантической деривации. Проанализировав семантическую соотносительность между глаголом и отглагольным именем действия, мы смогли описать процесс формирования отглагольных имен действия и их семантическую специфик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