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을 목표로 한국 속담의 내용적 특성과 표현적 특성 및 언어 외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텍스트 유형에 따른 러시아어로의 번역 기법과 전략 연구를 목표로 설정한다. 본 논문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속담 번역 연구 문제점을 분석한다. 둘째, 정보적 텍스트(Informative Text), 표현적 텍스트(Expressive Text), 호소적 텍스트(Vocative Text), 또는 작용적 텍스트 (Operative Text) 등과 같은 텍스트 유형과 텍스트성에 따른 한국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 전략을 연구한다. 셋째, 구체적으로 신문기사, 연설문, 문학작품 등 다양한 텍스트 유형별로 해당 번역 전략을 적용한다. 러시아어 번역분야에서 텍스트 차원의 한국 속담 번역에 대한 연구 부재로 인해 이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성이 양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한국 속담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실용적인 접근을 통하여 ’실제 번역에서 이론으로‘, ‘이론에서 실제 번역으로‘의 메커니즘을 제시할 수 있다. 연구 대상은 한국 속담의 중요도와 사용 빈도수를 기준으로 선정한 500개 이상의 속담과 신문기사, 연설문, 문학작품, 영상물 등에 인용된 한국 속담이다. 또한 한국 속담과의 대응 관계 연구를 위해 주제 별로 추출한 500개 이상의 러시아 속담도 연구 대상에 포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on the Russian translation strategies of Korean proverbs based on text types. The tasks to achieve it are as follows: 1) Analyz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tudies on Korean proverb translation. 2) Provide the Russian translation strategies based on text types and Textuality 3) Through comparison of the text types, such as Informative Text, Expressive Text, Vocative Text, Operative Text, list the Russian translation strategies of Korean proverbs based on text types. 4) Apply the transl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text types and textuality to newspaper articles and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