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 학술지인 ‘미술치료 연구’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1994〜2006년까지 장애아동 관련 69편의 논문들을 양적 분석을 통하여 장애아동 미술치료 연구의 발전적 방향과 질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연도별 게재율,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대한 동향을 빈도, 백분율에 의한 기술적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에 따른 게재 동향은 평균 게재율이 25%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연도별 연구주제의 동향은 아동의 행동문제와 정서 및 심리영역 관련 연구들이 가장 많았고, 제도 및 정책, 인식 및 지각 관련 연구는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장애아동 미술치료에 대한 접근의 효율성을 찾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연구주제의 다양화에 대한 필요성을 의미한다. 셋째, 연도별 연구대상아동의 동향을 보면 지적 및 정서‧행동발달 장애아동 관련 연구가 66%로 나타났다. 이것은 미술이라는 분야의 특성 상 감각장애아동에 대한 적용이 쉽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연도별 연구유형의 동향을 보면 사례연구가 전체 연구의 63%를 차지한다. 이것은 추후 장애아동 관련 연구에서 미술활동을 적용한 연구유형 및 설계의 다양화된 시도가 있어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In this study, among the theses appeared from 1994 to 2006 when ‘Korean Journal Art Therapy’, for the 69 theses related to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rough analysis about study contents and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ways of the study of the art therapy for special needs children. The conclusion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ported trend of the study according to each year of publication, the average publishing rate from 1994 to 2006 is 25%. Second, in the trend by study subject related to each year of publication, there were the most studies related to behavior problems, emotion and psychological areas of the children, and the studies related to systems, policies, recognition and perception appeared low. This result is considered giving the help finding effectiveness of the art therapy about the special needs children, it requires constant seeking for study activities of wide range. Third, if we see the trend of the children for the study according to each year of publication, it showed that the study related to the special needs children who have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emotion and behavior occupied 66%. This result is assumed that its application about the special needs children in sensitivity is not easy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the area, the art. Fourth, if we see the trend of study patterns according to each year of publication, case studies occupy 63% of the whole study. This is thought as needing various attempts by study patterns applying art activities in the study related to the special needs children later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