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자의식과 치료사 발달수준이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미술치료사로서의 자격을 갖추는데 필요한 치료사 요인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현장에서 3년 이상의 경력과 10사례이상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치료사 210명이며, 측정도구는 자의식 질문지, 치료사 발달수준 질문지, 치료사 자기효능감 질문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자의식, 치료사 발달수준, 치료사 자기효능감 수준은 중간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자의식과 치료사 발달수준 및 치료사 자기효능감은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자의식 중 사적 자의식과 사회적 불안은 치료사 발달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공적 자의식과 사회적 불안, 치료사 발달수준은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의식의 공적 자의식, 사회적 불안, 치료사 발달수준은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적 자의식과 사회적 불안은 치료사 발달수준을 통해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이고 유능한 미술치료사로서 자격을 갖추는데 필요한 치료사 요인을 밝혀, 치료성과를 위해 치료사 스스로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어떤 부분을 발전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therapist factors required to prepare for qualifications as an art therapist from examining the effects of art therapist's self-consciousness and development levels influencing self-efficacy. The research subjects were 210 therapists who have more than three-year career and have been performing more than 10 cases of art therapy in the art therapy field and as for the measuring scale, the self-consciousness questionnaire, consultant development level questionnaire, and consultant self-efficacy questionnaire were used. SPSS 19.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sciousness, development level and self-efficacy of art therapist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level. Second, the self-consciousness and development level and self-efficacy of art therapists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influenced the development leve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and development level had influences on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and development level of self-consciousness directly influenced self-efficacy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had indirect influences on self-efficacy through development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factors required to be prepared for professional and capable art therapists and provided information on what efforts should be made and what point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rapy perform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