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가별로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세계 천연가스시장에서의 수급 안정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분석해 보고자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 번도 이에 대한 실증검증을 하지 않았으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동하절기 수요격차가 큰 경우에는 지수화를 통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여기서는 ‘쓰나미’라고 하는 신조어를 사용하였는데, 쓰나미란 “천연가스의 수급 불안으로 인하여 에너지 안보 문제가 발생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를 말한다. 여기서는 통계적 추론을 시도한다든가, 고도의 계량화 작업을 하지 않는 대신에 쓰나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요소들을 국가별로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 결과는 국가별로 차별성을 갖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쓰나미가 발생할 취약 여건들이 많아서 이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을 도출해낼 수 있다. 그런데 요소들 중에는 우리 스스로 개선할 수 있는 부분들도 있고, 또 그렇지 못한 외생적 요인 부분들도 있기 때문에 효과 분석이 그리 간단하지만은 않다. 마지막으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향후에는 동북아지역에서의 천연가스 시장 허브(Hub) 개설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how much important the balance of supply-demand is in the world LNG market under the national energy security level. However there was no actual proof analysis on this. Therefore this research is very fruitful for some countries such as Korea (that has the seasonality problem of deep gap between winter and summer demand) to survey it continuously with the indexation. I used the 'Tsunami' on this paper as the newly-coined word which means "A serious situation enough to occur the energy security problem because of supply-demand unbalance". Although I did not try to do statistical deduction or high level of econometrical method, I made a comparative study of each country. It needs to make a risk management through comparative tsunami index.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Korea has the very weak structure against 'Tsunami' of the world LNG market. And we need to prepare something to get rid of those fear.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founding 'the Natural Gas Hub' in Northeast Asia as an alternative plan in the future. But I will write it down on next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