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건물에너지소비절약을 위한 정책들이 구체적인 소비저감목표를 제시하지만 저감목표달성이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정량분석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GCAM-EML모형을 이용하여, 대형상업용건물에 적용될 수 있는 건물외피 효율강화 및 조명기기의 효율개선 등 두 개의 요인에 대해 각각 세부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이들 두 개 요인이 대형 상업용건물에너지 효율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봄으로써 건물에너지의 효율개선 잠재력을 평가해 본다. 두 개의 에너지효율개선 관련 요인을 근거로, 시나리오 분석을 진행한 결과 기준안 대비 효율개선은 2030년에 최대 4.1%, 2055년에 8.5%로 나타닜다. 이를 누적 에너지저감량으로 환산하면, 2030년 최대 2.36MTOE에 달하여 이는 2010년 대형건물의 총 에너지소비량의 1.16배에 해당한다여러가지 에너지효율개선 정책 중 대형상업용 건물에너지 소비의 극히 일부 * 이 논문은 2015년 자원경제학회 하계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 보완한 논문입니다. 본 논문의 개선을 위해서 많은 조언을 하여 주신 에너지경제연구원 오경수 박사님, 그리고 익명의 심사자들께 감사드립니다. **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박사과정(주저자). minhobaek83@gmail.com ***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석박사통합과정. viczhoel@yahoo.com ****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연구교수. jaickoh@gmail.com *****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교신저자). suduk@ajou.ac.kr 분을 차지하는 두 개의 요인만의 효과가 이러하다면, 다양한 에너지효율개선 정책이 향후 건축물의 에너지효율등급 개선에 줄 수 있는 잠재적 영향력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은 개별정책의 효과를 통합평가 함으로써, 정책목표를 종합적으로 점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hile various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rograms with specific energy saving targets are being proposed by governments, the feasibility of those programs and targets are properly assessed in quantitative manner.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nhanced building shell efficiency, efficiency improvement of lighting appliances to reduce cooling energy demand via 9 scenarios discussed in this article using GCAM-EML. Provided in this process of research are quantification of such policy impacts on energy system through scenario simulation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is energy efficiency of large buildings are evaluated to be improved at maximum of 4.1% and 8.5% by 2030 and 2055 compared to the reference case. Although this improvement does not seem be large enough,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umulative energy savings up to 2030 is estimated to be 2.36MTOE and it is 1.16 times of large commercial building energy consumption of 2010 reported by energy survey conducted on 2011. A further detailed research with a more realistic scenarios would better describe how various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rograms currently deployed affect the overall building’s energy efficiency in the future, and this information could be better utilized for the detailed design of various ongoing energy efficiency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