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일자리 확산이 광역노동시장권 내 하위계층의 근로소득에 어떤 영향을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공간 미스매치 가설’(spatial mismatch hypothesis)은 이러한 주제를 다룸에 있어서 주요한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일자리 확산 척도로는 『광업ㆍ제조업 통계조사자료』에서 산출된 1999년 대비 2009년의 시군구별 일자리 변화수준이 사용되었다. 또한 근로소득을 포함하는 개인수준의 핵심 변수를 구성하기 위해서 2009년 산업ㆍ직업별 고용구조조사(OES)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대상의 공간적 범위는 7개 광역노동시장권에 포함된 102개 시군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분석모형으로는 자료의 위계적 구조를 다루는데 적절한 다층모형-그 중에서도 교차분류모형(CCMM)-을 이용하여 지역효과를 거주지 효과와 업무지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GIS 분석툴을 이용한 공간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광역노동시장권에서 일자리 확산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일자리 확산의 패턴은 각 권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나타났다. 다층모형 분석결과에서는 공간 미스매치 가설에서 주장하고 있듯이 일자리확산이 도시 하위계층의 근로소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effect of job sprawl on the labor incomes of the urban underclass within metropolitan labor market areas. The spatial mismatch hypothesis provides a key theoretical guide for this analysis. As a measure of job sprawl, I use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jobs for each city/subregion over the period 1999~2009, as recorded in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data. I also employ the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data in order to construct key individual-level variables such as labor income. Spatially, I include 102 cities and subregions belonging to the 7 major metropolitan labor market areas in the analysis. To account for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data while decomposing the region effect into place-of-residence and place-of-work components, I employ cross-classified multilevel models(CCMM) for the empirical analysis. Spatial analysis using GIS tools shows evidence of job sprawl in most of the metropolitan labor market areas considered. However, the pattern of job sprawl appears to vary with each local labor market area's characteristics. Multi-level analysis results show that job sprawl negatively affects the labor incomes of the urban underclass, a result which is implied by the spatial mismatch hypo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