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00년대에 들어 서울지역의 많은 대학에서 대표적인 불안정노동을 수행하는 중고령여성들의 대학 청소노동자들이 그들의 노조결성을 통해 자신의 노동시민권을 쟁취하는 공공 드라마를 훌륭하게 연출하였다. 서울지역 대학 비정규직의 활발한 조직화는 주로 공공운수노조 서경지부의 전략조직화사업과 학생ㆍ시민들의 도덕적 연대활동에 의해 추동되었던 것이다. 서경지부는 대학 비정규직의 조직화를 통해 조합원 규모 증가, 조직역량 강화, 그리고 지역차원의 운동기반 내실화 등과 같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단체협약 체결과 제도개선을 통해 조합원들 뿐만 아니라 미조직 청소노동자들의 작업환경이나 고용조건을 크게 향상시키도 하였다. 또한, 서경지부의 전략조직화사업은 간접고용에 대한 원청 사용자 책임성이나 최저임금 인상 등과 같이 사업장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의제화함으로써 저임금 비정규 노동자들의 고용지위와 소득조건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데에도 상당히 이바지하였다. 서경지부의 이같은 전략적 조직화 성과가 조합원들의 노동자 주체성과 노조 신뢰감을 더욱 고취하여 지부 차원의 활동역량과 조직기반을 더욱 강화하는 역동적인 선순환을 만들어주었다는 점 역시 특기할 만하다. 서경지부의 전략조직화가 두드러진 성과를 거둔 배경원인으로는 한편으로 청소노동자들의 열악하고 부당한 고용여건ㆍ관행과 대학사회에 배태되어 있는 유리한 기회구조ㆍ조건들이 객관적인 필요조건으로 작용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학생과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도덕연대와 특히 서경지부의 전략적이며 유능한 지도집행역량이 주체적인 충분조건으로 작용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서경지부의 사례연구는 노동운동 이론과 관련해 조직화대상인 노동자들의 고용조건과 태도특성, 조직활동 주체인 노조 지도부의 전략역량, 활동자원 확보와 특히 노조운동 수세국면에서의 외부연대 자원 필요성, 그리고 다양한 기회구조에 대한 이론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상호연계되어 선순환의 역동성을 창출ㆍ유지하고 있음을 확인케 된다.


In 2000s, Female janitors at universities of Seoul area, who are under precarious non-regular employment, have produced a public drama by organizing their own unions and obtaining labor citizenship at workplace. This is chiefly attributed to the industry union's strategic organizing policy and moral solidarity. By its organizing campaigns, the Seoul-Gyunggi unit has made notable achievements, such as the growth of union membership, strengthening of organizational capacity, expansion of regional movement base, the enhancement of employment and working conditions through labor contract and institutional reforms. Moreover, this strategic organizing substantially contributes to the social awareness concerning the client’s accountability for indirect non-regular employment and the upgrading of minimum wage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Seoul-Gyunggi unit’s strategic organizing produces virtuous dynamics to boost members’ union identity and commitment, thereby further strengthening the unit's organizational capacity and base. The success of the Seoul-Gyunggi unit's organizing campaigns are explained by several factors: inferior and inhumane working conditions given to those non-regular workers, favorable opportunity structure, moral solidarity created by active involvement of students and citizens, and the effective leadership and strategic capacity of the unit activists. This case study sheds light on the theoretical importance of resource mobilization, moral solidarity, opportunity structure, and strategic capacity of leaders and activists, interacting and combining to produce a virtuous dynamics for the revitalization of labor union m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