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관계적 리더십을 양자관계를 넘어 다자관계로 확장하여 연구해야 한다는 선행 연구들의 제언에 따라 관계적 리더십과 사회적 네트워크 내 구조적 위치가 팀 구성원의 성과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국내 12개 기업의 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비공식 리더-구성원 친교관계(ILMX), 네트워크 중심성(network centrality)은 팀 구성원들의 맥락적 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팀 구성원들의 업무성과에는 네트워크 중심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네트워크 중심성과 관계적 리더십 유형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구성원과 비공식 리더와의 관계는 그 구성원의 네트워크 중심성과 업무성과 간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며, 구성원과 공식 리더와의 관계는 그 구성원의 네트워크 중심성과 맥락적 성과 간의 관계에 부(-)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research on relational leadership need to be extended from dyadic relationship to multiple or network level relationship. This article examined how different relational leadership types(LMX, ILMX) and network characteristic(network centrality) are related to individual performance.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data from 12 organizations in Korea, we found that leader-member exchange(LMX), informal leader-member exchange(ILMX), and network centrality independently predicted members' increased contextual performance. However, only ILMX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mbers' task performance. Results further showed that high quality ILMX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network centrality and task performance. In addition, high quality LMX relationships nega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network centrality and contextual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