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가치성향인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과 심리적 계약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은 Triandis(1995)의 견해에 따라 개인과 집단의 이익 중 어느 것을 중시하는가에 대한 정도와 개인의 자유와 집단에 대한 동조를 강조하는 정도로서 정의하였으며, Triandis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심리적 계약은 Rousseau(1995)의 개념을 기초로 하여 포괄성과 장기성 두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회사나 조직구성원이 상대에 대한 의무나 권리를 비한정적으로 또는 폭넓게 인식하는 정도를 포괄성으로, 그리고 장기적인 관계 유지를 전제로 하는 정도를 장기성으로 정의하고 측정하였다. 우리나라 금융업, 제조업, 유통업에 근무하는 직원 247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집합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심리적 계약은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경향이 있었다. 둘째, 그러나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고 하여 심리적 계약이 한정적이거나 단기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셋째, 개인적 성향이 강할수록 자신은 회사에 대해 포괄적인 의무를 느끼지는 않지만, 회사는 자신에게 포괄적으로 대해주기를 기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value-orientations and psychological contracts in organiza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ivers industries including manufacturers, banks, and retailers. From a statistical analysis of 247 questionnaires we found basically the following two facts. First, among two value-orientations,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collectivism has strong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contract dimensions. The more collectivist an individual is, the less specific and the longer term contract he or she expects. In contract, individualists have no preference in psychological contracts except that they prefer non-specific company obligations toward employees. Second, collectivism has stronger relationships with the employees`s obligations toward company than with the company`s obligations toward employees. In other words, ones who have strong collectivism feel strongly non-specific and long term obligations toward their company, while they ask less strongly their company to treat them in that way. As expected, collectivism has strong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contracts. Collectivists prefer more non-specific and longer term psychological contracts. However, individualism show no expected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contract. Individualists even want non-specific employment relationship. This phenomenon suggests that in a traditionally strong collectivist country like Korea, individualism orientation has little influence in shaping psychological contract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explicate the complex role of individualism in the collectivist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