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통사고 위험지수(Traffic Accident Risk Index: TARI)가 어떠한 요인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운전자들의 교통사고 발생 경향성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타당한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352명의 운전자들에게 6문항으로 구성된 교통사고 위험지수(TARI)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교통사고 위험지수(TARI)는 2요인(아차사고 요인, 사고불안)으로 구성된 모델과 3요인(아차사고 요인, 사고불안 자기평가, 사고불안 주변평가)으로 구성된 모델로 가정되었으며, 각각의 모델에 대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요인으로 구성된 교통사고 위험지수(TARI)가 적합한 모델로 선택되었다. 교통사고 경향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교통사고 위험지수(TARI)가 타당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과거 교통사고 경험과의 상관분석을 통해서 수렴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요인들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준거타당도를 획득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교통안전을 위협하는 위험한 운전행동을 하는 것(역행적 대처행동)이 운전자들의 과거 교통사고 경험들과 교통사고 위험지수(TARI)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과 설명력을 나타내는지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운전자들의 위험한 운전행동이 과거 가해사고나 피해사고 경험보다 교통사고 위험지수(TARI)에 미치는 영향력과 설명력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3요인으로 구성된 교통사고 위험지수(TARI)가 운전자들의 교통사고 경향성을 측정하기에 타당한 척도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at factors the traffic accident risk index (TARI) consists of and whether the index is validly influential and convincing as a standard to measure the traffic accident proneness of drivers. To attain this objective, the TARI of 6 items was applied to 352 driver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e TARI was hypothesized in a model of 2 factors, i.e. near accident and accident anxiety and a model of 3 factors (near accident, self-evaluation of accident anxiety and surrounding evaluation of accident anxiety),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made of each model.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ARI of 3 factors was more appropriate than that of 2 factors. To determine whether the TARI is valid as a standard to indicate traffic proneness, this study examined to what extent a driver’s dangerous driving behaviors threatening traffic safety (regressive counteraction) affected and explained his/her past accident experiences and TARI. The findings showed that such behaviors affected and explained the TARI much more than the past accident experiences. Accordingly, the TARI of 3 factors proved to be a standard valid to measure the traffic accident proneness of a d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