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기혼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장-가정갈등(WFC)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개입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및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344명의 기혼근로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직장-가정갈등(WFC)이 높아질수록 우울이 높아졌으며 마찬가지로 문제음주 또한 증가하였다. 직장-가정갈등(WFC)과 우울의 관계에 있어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가정갈등(WFC)과 우울의 관계를 규명하는 한편 이에 대한 문제음주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기혼근로자의 직장과 가정의 양립의 중요성을 재고하고, 개인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직장-가정갈등(WFC)과 문제음주에 개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와 기업차원에서 가족친화적 기업복지프로그램이나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s) 등의 활성화를 통해 개인의 심리적 안녕뿐만 아니라 가정과 직장생활의 질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on depression among the married workers and to examine mediation effect of problem drinking between the two variables. 344 married workers in Seoul and Gyonggi Province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results indicate that work-family conflict was statistically influential on depression and problem drinking. And work-family conflict implie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problem drinking, with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depres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maltreatment of work-family conflict and problem drinking would negatively impact on depression. Therefore, government and companies must launch and activate family-friendly welfare programs and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s)services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mental health of the employ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