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컴퓨터 매체 커뮤니케이션에 의존하는 집단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집단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고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30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종단적 현장 실험을 통해 대면 집단과 컴퓨터 매체 집단에서 긍정적 정서의 발달 정도 및 긍정적 정서와 집단 프로세스와 성과 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정서의 수준과 발달 정도에서는 대면 집단과 컴퓨터 매체 집단 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긍정적 정서가 집단 프로세스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은 컴퓨터 매체 집단보다는 대면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면 집단의 긍정적 정서는 집단에 대한 몰입, 응집성 및 조직시민행동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집단 내 갈등과 집단 성과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컴퓨터 매체 집단에서의 긍정적 정서의 역할은 대체로 미약했다. 컴퓨터 매체 집단의 긍정적 정서는 집단 내 갈등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다른 집단 프로세스 변수들과 집단 성과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While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led to the increasing use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CMC), few studies have examined emotional aspects of CMC groups. A longitudinal field experiment comprising 301 undergraduate student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positive affect and the role of positive affect in group processes and performance between face-to-face(FTF) and CMC group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and development of positive affect between CMC and FTF groups.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itive affect and group processes appeared to be stronger in FTF groups than in CMC groups. More specifically, in FTF groups, positive affec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to group commitment, cohe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a negative relationship to intragroup conflict and group performance. In contrast, positive affect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CMC groups. In CMC groups, positive affec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tragroup conflict, but had no relationship to other group process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