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기업조직에서 핵심 역량으로 부각되고 있는 글로벌 마인드 역량에 대한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역량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개발 및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글로벌 마인드를 개념화(conceptualization)와 맥락화(contextualization)의 상위차원을 선정하여 문항들을 수집 및 개발하고, 중복적인 문항들을 제외한 후 62개의 행동기술문을 선정하였다. 이들 행동기술문에 대해 직장인 380명과 대학생 372명의 총 752명을 대상으로 자기평가를 실시한 후, 우선 직장인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1, 2차 요인분석 결과, 개념화에 해당하는 개방적 사고, 전략적 사고, 세계융합 마인드와 맥락화의 다양성 추구, 외부세계 이해, 주도적 적응성, 배려행동의 총 7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위계적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합도 지수들이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나 글로벌 마인드의 요인구조가 지지되었으며, 한 요인별 6개씩 최종적으로 42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또한, 해외 거주 경험, 외국어 수준, 조직의 글로벌 관련성 지각, 글로벌 역량 및 글로벌 정체성 수준 등의 다양한 변인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글로벌 정체성과 전반적인 글로벌 역량수준을 준거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글로벌 정체성에는 세계융합 마인드, 전략적 사고, 다양성 추구, 주도적 적응성 요인이, 전반적인 글로벌 역량 수준에서는 외부세계 이해, 다양성 추구, 주도적 적응성 요인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도출되었다. 이와 함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글로벌 정체성과 글로벌 역량수준 예측 시 일반적인 선발장면에서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외국어 능력에 추가하여 글로벌 마인드의 증분 타당도도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역량의 상대적 영향력을 조사하여 글로벌 마인드 지수를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1)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global mindset competency, (2) develop a global mindset competency scale with index and (3)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 list of 62 behavioral descriptions of global mindset extracted through FGI and literature review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380 incumbents of 16 companies and 372 students of 20 colleges in order to measure their level of each competency behavior. The results of 1st & 2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global mindset indicated that the competency model of global mindset consists of 2 dimensions(conceptualization, contextualization) and 7 factors(openness, strategic thinking, cosmo-convergence mind, diversity seeking, foreign understanding, self-directed adaptability, consideration), and this structure was confirm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nal scale of global mindset competency was composed of 42 behavioral descriptions of global mindset. Most of the factors of global mindset competency were also shown to have criterion related validity (.07 ∼ .62) with various criteria such as experience of overseas residenc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for improving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relatives living abroad, global competency, global identity etc. Futhermore,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4 factors of cosmo-convergence mind, strategic thinking, diversity seeking, self-directed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criterion of global identity, while foreign understanding, diversity seeking, and self-directed adaptability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global competency. The incremental validity of these 7 factors of the global mind scale on both global identity and global competency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the scale in the selection, training or performance appraisal process. Finally, the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