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의 학생평가직무에 필요한 역량의 특성을 분석하고, 도출된 역량들을 토대로 이들이 직무 수행 중 인식한 역량의 중요도와 실제 수행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9명의 입학사정관에게 개인 또는 집단 면접을 실시한 내용을 다차원 척도법 (MDS)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93개의 핵심문장은 각각 [군집 1]: ‘대학 전공학과/학생에 대한 이해’, [군집 2]: ‘신속, 정확, 통찰력 있는 서류평가 능력’, [군집 3]: ‘자기이해를 통한 직업적 소명의식 함양’, [군집 4]: ‘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특성이해’ 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중요도 평정 결과, [군집 3]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33명의 입학사정관에게 학생평가직무역량의 중요도와 실제 수행도의 차이를 설문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한 결과, 총 93개의 역량목록 중 37개의 역량에서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1문항을 제외하고는 모두 역량의 중요도가 높은 반면에 실제 수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의 함의점을 바탕으로 현재 제도에서의 활용방안 및 제한점을 통해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ived competency in student evaluating task from work experience, as well as observing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skill and the actual performance level of the admission officers, based on the competence drawn. For this study, Study 1 used the concept map, while Study 2 used the IPA analysis method. In Study 1 conducted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o rate the importance level of each core sentence. The analysis showed that a total of 93 core sentences were clustered into: (1)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major’, (2) ‘ability to evaluate the documents quickly, accurately, and insightfully’, (3) ‘vocation development through self-understanding’, (4)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its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 rating showed that Cluster 3 (vocation development through self-understanding)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mportance. Study 2 compared the perceived competency importance and the actual performance, using paired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from the 93 competency li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37 competencies; out of 37, 36 of them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perceived importance in the specific competency.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its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s well as providing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based on the study’s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