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Savickas(2012)의 경력적응성 척도를 직장에서 근무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먼저 예비조사에서는 Savickas(2012)가 13개 국가와 공동으로 연구하여 도출된 경력적응성 척도의 4개요인, 24개 문항의 성인대상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에서는 예비조사를 통해 도출된 경력적응성 척도의 요인구조를 검증하기 위해 직장인 184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경력관련 변인인 미래경력성공의 지각, 경력계획, 경력만족, 경력몰입을 준거변인으로 사용하여 경력적응성 및 4개 요인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결과 16개 문항으로 구성된 4개 요인구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조사를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구조 모형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서 경력적응성 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경력적응성 척도의 준거관련타당도 분석을 위해 다양한 준거변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경력적응성 및 4개 요인 모두 미래경력성공에 대한 지각, 경력계획, 경력만족, 경력몰입 등의 준거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미래연구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CAAS) developed by Savickas(2012) based on two samples of employees. In the study 1,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employees across a wide variety of companies. The total of 24 item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AS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showed that the four-factor model with 16 items was appropriate. In the study 2, data were collected from 184 employees across various companie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howed that the four-factor model had high goodness-of-fit indices supporting construct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AS. Als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career adapta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various criteria such as perception of future career success, career planning,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confirming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AS.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