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여로형 소설의 성립은 작중인물의 공간이동, 즉 여행을 추동시키는 요인과 긴밀히 연관된다. 그것은 현재의 삶에 대한 불만과 더 나은 세계에 대한 열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물의 떠남의 상황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은 여로형 소설의 바른 이해를 도울 것이다.여로형 소설의 떠남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소설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두 가지 이다. 여로형 소설의 인물의 갈등 상황을 파악하게 됨으로써 소설의 의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과 인물들의 떠남이 이루어지는 갈등 상황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하나를 더하자면 인물의 떠남과 관련된 여러 활동들은 학습자의 상상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떠남을 통한 소설 교육의 내용으로 몇 가지 단계를 설정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다.1) 작중인물의 떠남이 이루어지기 전 인물이 처한 환경에 대해 안다.2) 작중인물의 이념(이상)과 환경(현실) 사이의 격차에 대해 이해한다.3) 떠남을 통해 인물이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본다.4) 작중인물의 떠남을 평가하고 이와 관련된 학습자의 경험에 대해 생각해보고 정리하여 이야기해본다.5) 학습자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경험을 허구적으로 각색하여 글쓰기를 한다.6) 실제의 경험과 내가 꾸며쓴 글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말해보고 그렇게 각색한 이유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Journey novel education through a character's leaving in a literature workLee so 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