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어 학습자들은 보조용언을 학습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또한 학습한 후에도 제대로 내재화가 되지 않아 극히 일부 보조용언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보조용언의 복잡한 의미 기능을 한국어 학습자들이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교육용 보조용언을 선정하고 의미 범주를 설정하였으며 그 활용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본 연구는 한국어의 보조용언이 연결어미에 따라 한 형태가 여러 의미를 지니기도 하고 반대로 여러 형태들이 같은 의미 기능을 하는 점에 주목하여 2단계에 걸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선정한 한국어 교육용 보조용언들을 각각의 사용빈도, 난이도 , 과의 주제 혹은 목표 기능 등을 고려하여 일차적으로 개별 보조용언들을 교육하고 중급과 고급 단계에서 이미 학습한 보조용언들을 의미 범주를 활용하여 2차 교육을 실시하자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은 다양한 보조용언의 의미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Definition of Semantic Categories of Inflected Verb Forms for the Korean Learners and Strategies for th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