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930년대 삼천리사의 문학전집 구성 과정을 돌아보며 ‘정전’의 문화적 기원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전’으로 계열화된 문학사는 근대지식의 자족적 체계인 동시에 문화적 지형 위에서 생산 유통된 자본과 제도의 결과이다. 1930년대 근대문학은 조선학의 풍미와 독자층의 확대라는 문화론적 지형 위에 놓여 있다. 삼천리사는 이것을 조선문학의 ‘명작화’ 기획과 <조선문학전집>의 발간으로 구체화하며 근대문학 정전화에 일보를 내딛는다. 삼천리사는 5년 동안 총 4번에 걸쳐 명작(정전) 목록을 제시하면서 이 기획에 박차를 가하는데, 매번 정전 목록이 달라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열과 편집, 선택의 기준이 달라지고 있어 식민지 정전 구성의 과정을 살피기에 적합하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문학 장르의 분화’와 ‘식민지 시기 문학정전의 구성’ 과정을 탐색해 보았다.


This article aims to look into canonization of modern literature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literature of the 1930s. As『Samcholli』 connected “the revival of learning” and “national business” from the initial issue, it describes ambivalent situations like capitalistic reality principles and nationalistic ethics as the media identity. This is connected to planning magazines, so it comes into the open for people to read as “the only scriptures” of literature thinking of Chosun Dynasty. The Samcholli company’s process of selecting masterpieces was proper to find out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composing canonization in the colonial period was systematical. It presented the list of masterpieces(canonization) five times for 5 years, which is diversely meaningful. The list of canonization differs every time, and the standards of alignment, edit, and selection become also different. ‘Canonization’ is connected to ‘list’ comprising of selections, ‘reorganization of literary power, and ‘the specialization of literary gen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