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읽기의 개념을 확장하고, 이에 따른 실제적인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가장 타당한 평가 방법으로서 읽기 포트폴리오의 필요성을 재조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읽기 개념을 검토한 후, 다변화된 학습자들의 읽기 환경과 맥락에 따른 확장된 읽기 개념을 제시하였다. 읽기의 개념은 고정된 텍스트를 이해하는 수준에서 실제적인 읽기 맥락과 상황 속에서의 활용의 개념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기존의 읽기 평가 연구들이 평가 실태에 대한 비판과 함께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당위적인 명제만을 제시하며 실제적이고 대안적인 연구 방법에 대한 조명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확장된 읽기 능력을 실제적이고 타당하게 평가해 주는 평가 도구로서 읽기 포트폴리오의 특성을 재조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tend the concept of reading, and then to review the necessity of reading portfolio assessment as an authentic and valid assessment method. For this purpose, I examined existing concepts of reading and suggested extended concept of reading in accordance with changing situation and context of students' reading. I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reading should be changed from a dimension of 'understanding' for fixed texts into a dimension of 'using' in the authentic reading contexts. I also criticized that most existing researches about the reading assessment are simply criticizing for the actual condition of reading assessment and are insisting needs of improvement, without any review on authentic and alternative methods of reading assessment. To complement those researches, I focused on the trait of reading portfolio as an instrument that can assess extended reading skills authentically and validly. Lastly, I examined the special qualities of reading portfolio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