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에 대해’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어 사전과 교재 분석을 통해, 한국어 사전은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사전과 별반 다르지 않게 구성되어 사전 이용자의 편의를 충분히 배려하지 않은 면들이 있고, 한국어 교재는 ‘-에 대해’의 주된 의미와 형태를 일목요연하게 제시하지 못한 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뭉치 분석과 기존 사전에 제시된 ‘-에 대해’의 의미를 종합하여, (한)국어사전을 이용대상에 따라 모국어 사전과 한국어 학습사전, 이중 언어 사전으로 구분하여 표제어를 선정할 것을 제안함과 동시에 주제 → 대상 → 글 제목 → ‘이에 대해’ 순으로 의미를 제시할 것과 문어나 구어와 같은 사용 환경에 대한 설명도 덧붙여 사전 이용의 활용도를 높일 것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교재의 경우는 중급의 두 단계와 고급 단계로 나누어 의미의 중요도 순에 따라 내용을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제목, 본문, 대화문, 문법, 연습문제 등을 통해 노출빈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paper offered an effective suggestion on base of the analization of the use and meanings of '-e daehae'. In this paper, we find that the problem of korean-learning dictionaries is they are almost formed the same with the dictionaries for Koreans. In other word, 'daehae' is set up as the entry word and the explanation is simply divided to the theme and object. there is a lack of expanation for foreiners. Anther problem is that all the textbooks didn't present the sense difference between the theme and object, also, no form of 'daehada' is expained except '-e daehae'. This study suggest that th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should be divided into dictionaries for Korean, dictionaries for foreiners and bilingualism dictionaries. In dictionaries for foreiners and bilingualism dictionaries the entry word should be set up as '-e daehae', and the explanation should be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me-object-title-ie daehae' also, the use in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should be explained. In the textbooks, it should be divided into intermediate level and advance level and the textbooks should be formed following the impor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