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예비 초등 교사들의 독자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를 연구 참여자들의 자전적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전적 내러티브는 근거 이론의 방법으로 패러다임 모형을 구축한 후, 예비 초등 교사들의 독자로서의 정체성 구성 과정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 초등 교사들의 독자로서의 정체성은 가정과 학교, 또래 집단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적 맥락과 예비 교사로서의 읽기 수업에 대한 신념이 역동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형성되고 변화하고 있었다. 예비 초등 교사들은 현재 자신을 ‘자율적’ 혹은 ‘타율적’ 독자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러한 중심 현상은, ‘가정 내의 문식성 환경’, ‘읽기 행위에 대한 내적 동기 상실’이라는 인과적 조건과 학교 교육과정에서 경험한 ‘다양한 읽기 수업 경험’, ‘교사의 읽기 전문성 부재’ 등의 맥락적 조건에 의해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읽기에 대한 성공적 경험’이나 ‘읽기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예비 교사로서의 독자 정체성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내적인 상호작용을 거쳐 예비 교사들은 능동적인 독자를 키워낼 수 있는 읽기 수업에 대한 열망을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초등 교사들의 독자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계속 변화 발전할 것이며 이는 현장 교사가 된 이후에 다양한 수업 맥락 속에서 재개념화될 수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formation and change of reader ident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analysis on participants’ autobiographical narrative. For this purpose a paradigm model was built with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data as a method of basic theory and then the identity construction proces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the reader was precisely analys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ident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the reader was being formed and changed through dynamic relationship with various social context including their family, school, and peer group in the conviction on reading instructio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cognized themselves as ‘the autonomous reader’ or ‘the heteronomous reader’ and this central phenomenon has been built by causal condition of ‘literacy environment in their family’, ‘loss of intrinsic motivation about reading’ and also the context condition of ‘meaningless reading education’, ‘teachers’ absence of reading expertise’ causing from school curriculum. Through this intrinsic interaction, they got to reveal enthusiasm for reading instruction to make positive readers. The reader ident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not fixed but going to be changed to progress incessantly and it can be re-conceptualized in various instruction context afterward while working as the regular teachers, as well. The analysis on reader ident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much significance as it has close relations with conviction on future reading i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