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어 수업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학습자 모어 사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실제와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인 모어 사용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중국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 22명과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업 내 모어 사용에 대해 전반적으로 교사보다 학습자가 더욱 긍정적이었다. 대부분의 교사가 교실에서 모어 사용이 필요하고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실제 수업에서 ‘40% 이상’ 모어를 사용하며 교사들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모어를 사용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이해 부족과 교사들의 한국어 실력 부족 등이 실제로 한국어 수업에서 학습자 모어가 사용되는 원인으로 꼽았다. 학습자들의 90%는 교사의 모어 사용이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교사와 학습자 두 집단 모두에서 수업 내용의 전달에 모어 사용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습자들은 교사의 한국어 사용이 자신들에게 노출 기회를 주어 듣기 훈련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나 이들 중 56% 이상은 한국어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유익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를 통래 교사의 모어 사용 인식과 학습자의 모어 사용 인식, 그리고 교사의 실제 수업에서의 모어 사용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using L1 of Chinese Korean teachers and learners in Korean class in China.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employe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the answers from 22 Chinese teachers of Korean and 133 Chinese learners of Korean. 91% of teachers thought using L1 necessary and most teachers use Chinese(L1) more than 40% in a class. Most teachers accepted using L1 in Korean class and found it effective. However, they used more L1 than they thought it effective because of their lack of Korean ability and learners’ lack of comprehension of class contents. 90% of learners believed teachers’ using L1 was helpful, and 56% of them did not want that the class was managed in Korean only. Although the learners understand using Korean in class gave them abundant opportunity to be exposed, they also thought using L1 was necessary. Both teachers and learners perceived using L1 for explanation of grammar and vocabulary meaning, Then, teachers found using L1 is necessary for communication and intimacy, but learners did not. Overall, the study found out that students were more generous of using L1 in the class than teachers who studied Korean language teaching. This study claimed that there were discrepancy between teachers’ perception and learners’ perception, and between their perception and teachers’s real te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