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에 대한 평가에서 신뢰도나 타당도가 높은 객관적인 평가 항목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교원 능력의 개념과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요소 선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국어 교원 능력은 한국어, 한국어 교육, 언어 교육적 ‘지식’,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이나 태도, 한국어 교육과 관련되는 학사 제반 업무 등의 능력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식과 인성을 포괄하는 ‘전문성’에 대한 능력과 학사 제반 업무를 포괄하는 ‘책무성’에 대한 능력을 평가 요소로 설정하였다. 또한 현직 한국어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항목으로 가설정한 평가지 2개에 대하여 타당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 개개인의 수업 필요성 인식이나 학생의 수준 차이에 따른 수업 진행 등은 다른 항목에 비해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 내용 정리, 학습에 도움을 주는 과제 부여 등은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지Ⅰ(학생 평가용)에서는 25개의 평가 항목(‘기타 의견’ 포함)을 선정하였고, 평가지Ⅱ(동료/자기/관리자 평가용)에서는 19개의 평가 항목(‘기타 의견’ 포함)을 선정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bjective, reliable and valid measure to evaluate the competencies of KFL teachers. To this end, the paper includes a discussion of the concepts and evaluation factors of the skills required of KFL teachers. It is concluded that these skills should be expanded to encompass a variety of concepts including Korean language skills, Korean language education, pedagogical knowledge related to language teaching, and other aspects related to the field. Competencies should also include ‘professionalism,’ which encompasses knowledge and humanity and ‘accountability’, which covers diverse aspect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KFL teachers. The necessity of teaching students to recognize that, depending on the class lesson plans to proceed with the validity was low.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of course content and the need to challenge students in order to promote learning was rated as low. The survey results reflect the relevance and importance of the KFL teachers competency evaluation items. In Assessment 1, 25 items were selected, while Assessment 2 included 19 evaluation i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