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V1어 V2’ 구성을 한국어 결과구문의 하나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V1어 V2’ 구성은 의미 기능상으로 다른 결과구문에 비하여 손색없는 결과의미 표시 역량을 보여준다. 둘째, ‘V1어 V2’ 구성은 결과를 표시하는 요소의 문법범주에 따라 여타 한국어의 결과구문들과 상보적인 분포를 보이며 전체 한국어 결과구문 체계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V1어 V2’ 구성은 하나의 문장 안에 원인행위와 그 결과라는 두 가지의 사건이 하나의 사건으로 통합되어 나타난다는 점에서 구문적 성격을 가진다. 한편, 이와 같은 주장의 과정에서 중국어의 대표적인 결과구문인 動結式과 한국어 ‘V1어 V2’를 비교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결과구문에 대한 언어 보편적 관점에서의 이해를 시도하였다.


This study asserts that ‘V1어 V2’ co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accepted as one of Korean resultative constructions. The reasons why we argue this are next two. First of all, ‘V1어 V2’ is capable enough to represent the meaning of ‘result’ compared to other resultative constructions of Korean. We are going to check how ‘V1어 V2’ carry out this function which dives to representation of change of state, change of location and change of perception. Second, ‘V1어 V2’ seems to have the character of construction and could be accepted as a construction in the point of this foam tend to combines two distinct events, specific activity and it’s result, into one integrated event and represents it in a simple sentence. And in the process of these accounts, we take the way of comparing ‘VV’ verb compounds in Mandarin Chinese which is widely recognized as resultative construction and ‘V1어 V2’ in Korean, as an attempt for language universal of resultative construction.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Korean resultative construction, ‘V1어 V2’, Chinese Verb-Result Construction, Event Integration,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심지영:서울시 광진구 능동로 209 세종대학교 / simji89@hotmail.com 투고일자:2015.04.30. / 심사일자:2015.05.25. / 게재 확정 일자:2015.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