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기존의 연구 결과를 보면 중국 국내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제시대화문들은 의존명사의 사용에서 한국어 준구어와 큰 차이를 보이는데 연구자는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통계학에서의 모수 추정과 가설 검정법을 사용하여 한국어 준구어와 듣기 교재 내 제시대화문에서 출현한 의존명사에 대해 범주별 사용과 어절구조 사용 측면에서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어 듣기 교재에 대해 두 가지 개선 방안을 제의하였다. 첫째, 보편성, 부사성 의존명사의 사용률은 낮추고 주어성, 단위성 의존명사의 사용률은 높여야 한다. 그리고 고유어 계통의 의존명사의 사용률은 높이고 한자어 계통의 의존명사의 사용률은 낮추어야 한다. 둘째, 의존명사에 긍정지정사, 주격조사, 보격조사, 호격조사가 붙는 어절구조들은 그 사용률을 높이고 의존명사에 보조사, 부사격조사, 명사파생접미사가 붙는 어절구조들은 그 사용률을 낮추어야 한다.


Existing studies show that in the use of bound nouns,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Korean listening textbooks and Korean quasi oral. In order to find the reasons, we used the hypothesis testing method of statistical estimation to compare bound nouns in Korean listening textbooks and Korean quasi oral. Then according to the results, we put forward two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Korean listening textbooks in the future. First, reduce the use of universal bound nouns and the adverb bound nouns, increase the use of subject bound nouns and the unit bound nouns, then we should also improve the usage of inherent bound nouns and reduce the usage of the Chinese character bound nouns. Second, increase the use of structures with the affirmative indications, nominatives, auxiliary words and vocative particles, increase the use of structures with the auxiliary inclusions, adverb case particles and noun suffix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