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국어과 서답형 문항에 대한 학생 반응을 유형별, 성취수준별로 분석하여 국어과 교수․학습 및 교육과정 개선, 서답형 평가 방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국어과 서답형 문항을 각각 1개씩 선정하였으며, 먼저 표집학교 학생이 작성한 답안의 반응 양상을 유형화하고 빈도를 조사한 후, 각 유형의 성취도 점수별 빈도 분포 및 비율 분포 곡선을 활용하여 성취수준과 연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국어과 서답형 문항은 성취기준과 관련한 학생들의 역량을 온전히 평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제시되는 텍스트의 성격과 난이도가 문제 해결 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학력 학생들은 국어지식에 대한 이해 및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이 미흡했고, 기초학력 이하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무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출제 영역의 성취기준에 관한 학생들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 설계, 성취기준 달성에 도움이 되는 적합한 자료의 제시 등 문항 출제상의 개선점을 제안하였고, 국어지식 함양 및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udent response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of Korean language in NAEA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enhancing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alysis target items are two constructed response items, one item each from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in the 2013 NAEA. First of all, answers for constructed response items written by students from sample-based testing schools were classified by type. Utilizing the distribution curve of frequency and rate per achievement sco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hard to separately evaluate student’s capability related to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domain being tested. It is also indic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fficulty level of texts have a great influence on how students solve problems. Even Proficient level students lack a basic understanding of grammar and have hard time expressing their thoughts;Basic and Below-basic students showed high non-response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