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통계학에서의 구간 추정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어 준구어에서 출현한 보조용언과 중국 국내에서 출판된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제시대화문에서 출현한 보조용언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먼저 품사별로 각각의 보조용언이 보조동사와 보조형용사로 겸해 사용되는지 아니면 보조동사, 보조형용사 어느 하나로만 사용되는지에 따라 단일 보조용언과 양면 보조용언으로 나누고 다시 그 구체적인 쓰임에 따라 보조동사와 보조형용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 이들 보조용언을 그 의미에 따라 ‘종결상’, ‘지속상’, ‘수동’, ‘사동’, ‘부정’, ‘강조’, ‘양태’ 등 7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비교 결과 한국어 듣기 교재들은 보조용언의 사용에서 한국어 준구어와 일정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제시대화문 편집에 대해 몇 가지 주의할 점들을 제의하였다.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subsidy predicates in dialogue samples using the interval estimation method of statistics in Korean listening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his paper includes two aspect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subsidy predicate whether is a multi- category word or not, we divided them into single and multi-category subsidy predicates. Then according to their specific usage, we divided them into auxiliary verbs and auxiliary adjectives. Secondly, according to its semantics, we divided them into seven categories:“the end, the sustained, the movement, the causative, the negative, the emphasis, the state”.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use of subsidy predicates,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Korean listening textbooks and oral Korean in daily life. We should satisfy that the Korean learners’ learning needs as much a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