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놀이의 속성을 아동문학과 관련지어 살피고 아동문학교육에서 놀이의 의미를 찾는 데 있다. 놀이는 아동의 세계를 특징짓는 삶의 중요한 영역이며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 주변과 세계를 탐색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놀이는 일상과 다른 어떤 고정된 시간과 공간의 한계 안에서 절대적 구속력을 가지는 규칙을 가진다. 그리고 자발적 행위 또는 일로서 그 자체의 목적이 있으며 어떤 긴장감과 즐거움이 존재한다. 또한 놀이는 현실에서 보이지 않던 것을 보여주고 자유롭고 창의적인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즉 놀이는 아동으로 하여금 안전한 곳에서 자유롭게 상상하고 창조하는 시․공간을 마련한다. 이러한 놀이는 아동에게 아동문학과 현실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 놀이가 아동문학교육에서 가지는 의미는 아동에게 문학을 경험하게 하는 즐거움을 스스로 가지도록 하고, 아동의 문학 감상 과정에서 상호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한다. 그리고 아동으로 하여금 아동문학의 상상을 체험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아동의 정서발달과 안정에 도움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eans of play in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Play is an important area of life that characterizes the world of children’s help to navigate with children, and let the world around him and forming a relationship. The play follows the rules and has absolutely binding within the limits of day-to-day and some other fixed time and space. In addition, as a voluntary act or thing in itself, and there is a purpose, there is no suspense and fun. The play can be a bridge between children’s literature and reality to the child. Although the game can not do anything here that will help you do nothing yourself as detached from reality and reality. However, the play offers the opportunity of a free and creative experience shows that did not look at the reality. Also playing will raise during space to imagine and create freely in a safe place to let children. And in literature appreciation course of interactivity interaction occurs for children and actively. Also experience the fallacy of allowing the imagination of children and children’s literature as a voluntary participation helps to emotion and stable development of the chi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