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역원은 조선의 외국어 교육 전문 기관으로 <경국대전>에는 사역원 사학(四學) 즉 한학(漢學), 몽학(蒙學), 왜학(倭學), 여진학(女眞學) 등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조선 초기부터 사역원의 사학이 정립된 것은 아니었다. 조선 초기에는 한학과 몽학만으로 사역원이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후 왜학과 여진학이 차례로 설치되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여진학은 청학으로 바뀌었으며, 사역원 내에서의 서열도 조선 초기에는 한학, 몽학, 왜학, 여진학이었으나 청이 동아시아의 강자로 군림한 이후에는 한학, 청학, 왜학, 몽학으로 바뀌었다. 이와 같이 사역원의 성립에서부터 사학의 성립 과정, 여진학이 청학으로 바뀌는 현상, 사역원 서열의 변화는 모두 조선을 둘러싼 정세의 변화와 관계가 있다. 한편 사역원의 교재를 역학서라 불러왔는데 역학서 중에는 다른 역학서와는 달리 편찬부터 사역원이 폐지되는 구한말까지 계속 쓰이면서 영향력을 발휘한 역학서들이 있다. 한학서에서는 <노걸대>와 <박통사>가, 왜학서에서는 <첩해신어>가 그런 종류의 역학서에 해당한다. 특히 <노걸대>는 고려 말에 편찬된 이후 사역원이 폐지될 때까지 600여 년 간 한학서의 역학서로 사용되었다. 한편 기존의 논의에서 조선의 외국어 교육의 특징은 첫째 유학생 파견, 둘째 원어민 교사의 채용, 셋째 역관들의 모국어 사용을 통제하는 것 등이 지적되었다. 그런데 17세기 이후의 역관 가계에 주목하면 여기에 역관의 세습화와 외국어 조기 교육이 조선의 외국어 교육의 특징으로 추가될 수 있다.


Since Sayeokwon(司譯院) has founded in the late of Koryeo Dynasty, it has continued existence as a special institution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during about 600 years. It established Sahak(四學) which was composed of Hanhak(漢學), Monghak(蒙學), Waehak(倭學) and Yeojinhak(女眞學). Sahak was, however, not established from in the early period of Choseon. When Sayeokwon was founded at that time, it was composed of only Hanhak and Monghak. From that time Waehak and Yeojinhak were added in 1414 and in King Sejo's period in turn. But Yeojinhak was changed into Cheonghak(淸學) after the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Byeongjahoran,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On the other hand, the rank of Sahak was change into Hanhak, Cheonghak, Waehak, and Monghak as soon as Cheong held hegemony in East Asia. We has called the foreign language textbooks in Sayeokwon as Yeokhakseos(譯學書). Few Yeokhakseos survived but some of them existed and had influence up to now. They are Nogeoldae(老乞大) and Paktongsa(朴通事) among Hanhakseos (漢學書) and Cheophaesineo(捷解新語) among Waehakseos(倭學書). Although we do not know its writer or editor Nogeoldae was written with the writer's abundant experience. Nogeoldae was translated into Mongolian and Japanese language. Cheophaesineo was written by Kang Woo-seong(康遇聖) who has made a living during about 10 years in Japan and mastered the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This book has, therefore, had an effect on the other Waehakseos. Nogeoldae has showed the history of Chinese languages between Hàéryányú(漢兒言語) during Yuan dynasty, Nánjīng Guānhuà(南京官話) during Ming dynasty and Beijing Guānhuà(北京官話) during Qing dynast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Choseon dynasty, Cheong(2002) has present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the dispatch of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the utilization of the native-speaker teachers, and the prohibiton of the usage of the mother tongue. I think they are correct but I would like to add up two more points; the hereditary eduction of the Chosoen interpreters and the early education on foreign languages on which we can confirm through Cheollyeong Hyeon clan(川寧玄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