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전쟁 포로의 문학적․문화적 표상 검토라는 거시적 작업의 일환으로 정묘․병자호란을 중심으로 한 明淸교체기 조선인 포로서사의 특수성을 적시하고, 이를 토대로 「김영철전」이 묘파해 낸 새로운 인물형의 시대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임진년(1592)부터 병자년(1636)에 이르는 약 40여 년 동안 조선은 네 차례의 커다란 전쟁을 겪었고, 그 결과 무수한 백성들이 일본과 後金[淸]의 포로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러한 被虜 경험은 다양한 형태의 기록물을 통해 서사화 되었는데, 특히 정묘·병자호란을 포함한 명청교체기의 포로서사는 몇 가지 지점에서 임진·정유재란 시기와는 구별되는 차별성을 띤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첫째, 탈출 이후 고국에서의 삶이 순탄치 않게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탈출에 성공한 이후 고국에서의 팍팍한 삶을 견디지 못하고 다시금 청나라로 회귀를 시도했던 안추원의 경우나 「梨花菴老僧行」에서 포착된바 귀국 이후의 부적응과 그로 인해 승려라는 존재로 표류할 수밖에 없었던 한 인간의 이력을 통해 드러나듯이, 명청교체기 포로들은 탈출과 귀국 이후에도 여전히 불안하거나 소외된 삶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임진·정유재란 때 포로로 잡혀가 돌아왔던 이들의 기록인 「趙完璧傳」, 「辛起金傳」, 그리고 소설 「崔陟傳」등이 가족 간의 재회나 새로운 삶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것과는 차이를 지닌다. 둘째,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격변기였던 명청교체기의 와중에 전통적 華夷觀의 균열을 경험하던 시대적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 소설사에 새로운 인물형이 출현하게 되었다. 「김영철전」의 주인공은 朝鮮人 포로로 시작된 여정에서 滿洲人의 일원으로 살아가다 다시 漢人으로서의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그러나 결국 그는 조선으로 돌아온 후 淸主에 의해 ‘帝國人’이라는 정체성을 부여받는다. 곧 김영철이라는 인물은 역사적 격변기를 온몸으로 가로지르며 생존했던 일종의 ‘混種的 주체’라는 점에서 기존 포로서사의 인물들과는 확연히 구별된다. 이상과 같이 명청교체기의 포로서사가 기존의 포로서사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문학적 표상들을 산출했던 데에는 정묘·병자호란의 철저한 패배와 後金[淸]의 성장 및 동아시아 대제국의 성립 등과 같은 당대의 역사적 특수성이 자리하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trends and attributes of narratives regarding Joseon captiv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Mi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when Manchu's Invasion in 1627 and in 1636 broke out. Joseon Dynasty had undergone four large wars for about 40 years from 1592 to 1636, which degrades a number of people to the captives of the Chinese powers. These experiences as captives were described through the various types of records. Among them, the narratives about captiv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ncluding Manchu`s Invasion shows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respects, compared with those during the Imjin War. First, there is a tendency that lives of escapees after the escape from Ming or Qing is narrated as troubled ones. As shown in Ihwaamnoseunghaeng(「梨花菴老僧行」), the main characters of the narrativ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still lead the life suffering from anxiety and alienation even after the escape and homecoming. These pessimistic perspectives show a notable difference with the records about escapees in the period of the Imjin War, in that the latter mainly describes family reunion and the will of the escapees towards a new life. Second, a new type of character appear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hich seems to reflect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at the time which the view of world centered on China began to dismantle on a backdrop of changes in international order of the East Aisa. Kimyoungchul in Kimyoungchuljeon(「金英哲傳」) is depicted as a figure who leads the life as a Joseon, a Manchu and a Ming. As such, the narratives about the captives in the transition period is clearly distinguishable, compared with the previous ones, in that the former describe vividly a sort of ‘Hybridity’. In conclusion, I would argue that narratives regarding the captives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Ming dynasty to Qing Dynasty produce unique literature symbol, which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at the time such as devastating defeats from Manchu's Invasion, the growth of Qing and the dissolution of the traditional view of the world centered on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