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역사교육에서의 영토교육이 지나치게 독도 관련 연구에 치우쳐 있어 한국의 영토 변천 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역사교육에서의 영토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역사과 교육과정에서는 1990년대 중반까지 영토 관련 내용이 매우드물어 체계적인 영토교육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중국의 동북공정과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등 역사왜곡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1997년에 마련된 제7차 교육과정부터 역사교육에서도 영토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2009년에 개정된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에서는 독도와 간도 문제가 하나의 독립된 성취기준으로 제시되었다. 역사과 교육과정에 영토 관련 내용이 늘어남에 따라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영토 관련 서술도 증가하였다. 2011 교육과정에 의해 발행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는 초기 우리 민족의 활동 무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영토의 변천과정이 비교적 체계적으로 서술되었다. 검정제로 발행된 교과서이지만 전근대 시기의 영토 관련 내용은 분석 대상으로 삼은 3종의 교과서가 매우 유사하다. 하지만 근현대 시기의 경우에는 독도와 간도 문제가 강조되면서 교과서마다 서술 분량과 내용, 수준에 큰 차이를 보인다. 역사교육에서의 올바른 영토교육을 위해서는 영토 관련 내용의 범위와 수준 등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has reviewed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ilting heavily to Dokdo-related studies, the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cannot properly reflect th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territory. First of all, one could hardly expect a systematic territory-related education with the curriculum in History, which constitutes the basis of history class, as territory-related details were very rare up to the mid-1990s. However, as increasing social attention was paid to the distortion of history including the Northeast Project of China and the Japanese claim to Dokdo, the importance of the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began to be emphasized, starting with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established in 1997. In the 2009 amendment of the high-school curriculum in Korean History, the issues of Dokdo and Gando were presented as independent criteria of achievement. As the curriculum in History got more and more content on territory, the territory-related description increased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in Korean History. The high-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2011 curriculum included a relatively organized descrip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from the earlier domain for the Korean nation to the present. Published with official certification, the three textbooks selected for the analysis are more or less the same with respect to their description of the territory in the pre-modern periods. Different textbooks show much difference in length of description, content, and level, however, as the issues of Dokdo and Gando receive emphasis, coming in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To ensure correct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a systematic discussion of the scope and level of the territory-related descriptions should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