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ropose of this paper is to appraise place marketing on case firelight festival in Pohang. The results are fellowing. First, the firelight festival didn’t link marketing with place value. The reasons haven’t developed strong mean and shocking message as firelight city. Second, the contents of festival program were’nt included Pohang’s identity and symbology. The festival-oven-place were short in facilities as toilet, parking lot. Third, the marketing was concentrated on Deagu-Gyeongbuk. Other region have’nt interest in public relations. Fourth, the firelight festival didnt a great contribution to Pohang’s economic development. The measures of the Pohang’s firelight festival development need to provide emotional program(theme), construct use facilities, establish professional organization system, drive nationwide marketing, develop only Pohang’design(brand value) program with an impressive message. and having impressive message.


The propose of this paper is to appraise place marketing on case firelight festival in Pohang. The results are fellowing. First, the firelight festival didn’t link marketing with place value. The reasons haven’t developed strong mean and shocking message as firelight city. Second, the contents of festival program were’nt included Pohang’s identity and symbology. The festival-oven-place were short in facilities as toilet, parking lot. Third, the marketing was concentrated on Deagu-Gyeongbuk. Other region have’nt interest in public relations. Fourth, the firelight festival didnt a great contribution to Pohang’s economic development. The measures of the Pohang’s firelight festival development need to provide emotional program(theme), construct use facilities, establish professional organization system, drive nationwide marketing, develop only Pohang’design(brand value) program with an impressive message. and having impressive message.


본 연구의 목적은 포항불꽃축제를 사례로 장소성 자산형성과 마케팅 전략을 연계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분석이다. 이를 위해 장소자산 개발과정, 장소성 형성, 마케팅 전략, 장소마케팅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소자산 개발과정과 관련하여 포항불빛축제 만들기의 추진배경은 축제를 통한 포항의 지역정체성 확립, 도시 및 기업이미지 변화, 빛 도시로의 브랜드 확보를 위한 것으로분석되었다. 포항불빛축제의 개발과정은 포항시와 포스코가 주도되어 포항의 설화, 지명,지리적 특성, 산업화 및 도시발달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소재로 이루어졌다. 자연소재나 문화자원을 통해 개발된 축제는 장소 자산을 위해 대규모의 물리적 인프라 설치나 그에따른 운영경비가 필요하지만 포항불빛축제는 이와 관련된 시설설치 없이 소정의 비용으로장소 자산화를 위한 수범적인 사례가 되고 있다. 둘째, 장소성 형성과 관련하여 체험 프로그램의 참여는 외래객이 많았고 체험의 목적은 불빛축제의 관람, 주변관광지와의 연계에 따라 참여가 주류이고 부대행사에는 관심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포항하면 빛이 연상되고 방문목적이 빛 축제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빛과 관련한 프로그램의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체험과정에서 불편 점은 교통 및 주차불편, 급수시설, 화장실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용편익시설의 완비가 필요하다. 또한 축제의 지역연상 및 지역개발 연상은 효과성이 높지 않았지만 향후, 포항불빛축제가 도시의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보다 치밀한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마케팅 전략과 관련하여 시장분석의 측면을 살펴보면, 주된 고객은 친구/여인, 가족/친지, 그리고 고학력의 화이트계층 및 미혼의 참여가 높았다. 축제방문객의 主 대상지역은경북과 대구주민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마케팅이 대구 및 경북지역에 집중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계층과 전국 모든 지역민이 골고루 참여할 수 있도록 마케팅의 목표시장을 다변화화 시키도록 한다. 한편, 마케팅 형성(믹스) 전략의 측면에서 조직도시지역의 장소마케팅 분석 305을 살펴보면, 기존 부서가 마케팅 활동을 담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다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마케팅을 위해 학계, 관련 단체(NGO), 연구원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및 연찬회등을 통해 조직의 전문성을 높이도록 한다. 이미지 마케팅은 심벌과 캐릭터의 제작을 통해대응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포인트 전략은 핵심적인 프로그램이 들러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소마케팅의 성패가 목적에 맞는 신선하고 감동적인 프로그램이 있는 만큼, 화제성과 홍보성을 높이는 핵심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다. 채널 전략은 신문, 방송, 인터넷,여행사, 이동열차, 현수막 등 다양한 루트를 통해 이루어졌지만 대구경북지역에 집중적으로이루어졌다.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전국적 망을 통해 홍보하고 그 실효성을 높여 나가야한다. 넷째, 장소마케팅의 효과성 분석과 관련하여 참여의 효과성을 살펴보면, 방문의 용이성,행사내용의 재미, 안내서비스, 프로그램의 다양성 등이 높지만 프로그램 체험의 만족, 축제기념물의 다양성, 주변관광과의 연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성과 관련하여 1인당지출은 대부분 음식료비, 교통비, 숙박비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축제와 연계하는 브랜드 있는 상품 및 토산물 개발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포항불빛축제가 포항의 이미지 개선 및 도시의 멋을 창조해 나가고 대표자산 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핵심프로그램 마련, 마케팅 기법개발과 더불어 지역개발 및 경제 활 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