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South Korea is one of the fastest ageing countries due to longer life expectancy and lower birth rate. And sooner or later ageing population will becomes a big social problem, especially in the rural a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Korean government develops the farmland reverse mortgage system (FP). The key factor of FP is the farmland value forecasting. The land value is affected by the land tax, economic recession, and subprime mortgage crisis, etc. Therefore this paper estimated the effect of subprime mortgage which significantly affects the farmland value. In order to estimate the external effects of changing rates of farmland value by the subprime mortgage, this paper reviews the actuarial model of farmland pension system, the time series model (ARIMA), OLS regression, and interrupted time series model (ITSA).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mplemented the purse function model to figures out the changing rates of three key variables of farmland pension which are composed of the increasing rates of dryfield, ricefield, and interest rates. The coefficients of dummy variables of dryfield and ricefield during the subprime mortgage periods are -3.755 and -3.479 respectively. Their regression coefficients before the intervention are -0.007 and -0.004 respectively. It means that the subprime mortgage affects extremely negatively the increasing rates of farmland value. It also shows the similar results in the change of interest rates. Therefore ITSA model should be developed for the long term forecasting for considering the interruption effects, such as public policies and any other interruption.


한국은 기대여명의 증가와 낮은 출산율로 빠르게 고령사회로 바뀌고 있다. 가까운장래에 고령인구는 큰 사회적인 문제가 될 것이다. 특히 농촌지역은 그 정도가 더욱 심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11년 농지연금제도를 도입하였다. 이 농지연금의 핵심요소인 농지가격은 토지세, 경기침체, 금융위기 등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농지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비우량담보대출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RIMA모형, OLS 회귀분석, 간섭시계열 모형을 검토하였다. 이론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논, 밭, 이자율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간섭시계열 모형의 비우량담보대출 위기 동안 논과 밭의 회귀계수는 -3.355 와 -3.479로 나타나서 충격이전의 -0.007과 -0.004보다 부정적인 효과가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자율의 경우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장기농지가격예측을 위해서는 공공정책 혹은 다른 외부충격을 고려하는 간섭시계열 모형을 활용하여 예측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