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도시개발 이론의 패러다임은 과거 성장위주의 모던 도시개발에서 인간의 삶의 질을 강조하는 포스트모던 도시개발이론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오랫동안 도시주민들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온 도시교통문제는 도시개발의 중요한 부문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도시개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나타나는 도시의 교통분야 특성을 비교연구와 가설검증을 통해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가설은 도시교통에 대한 접근성, 교통수단별 만족도, 그리고 도로의 인간친화성 세 가지 변수를 중심으로 설정하였으며, 가설검증 결과 ‘포스트모던 도시는 교통접근성과 교통수단별 만족도, 도로의 인간친화성에 있어서모던 도시보다 높다’는 세 가지 가설은 모두 채택되어질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포스트모던 도시개발이론의 보편적 우위에 대한 관념에 상반되는 것으로서 향후 우리나라도시개발에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urban development paradigm has shifted from a modern approach, focusing ongrowth-oriented policy to a post-modern approach, stressing quality of life. This shift hasgiven urban transportation problems, which have long had an impact on the quality of humanlife, a new prominence in urban development.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urban transportation through a comparative study and hypothesis testing, and it suggestsimplications. The hypotheses were set based on three variables: accessibility of urbantransportation, satisfaction with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human friendliness of the road. After conducting the 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 three hypotheses, that the post-moderncity ranks higher than the modern city in each of the three variables, cannot be supported. These findings run counter to the general notion of the superiority of post-modern urbandevelopment theory, and the study has many implications for the urban development ofKorea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