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사회정책에 대한 협력 로컬 거버넌스의 일반적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우수사례와 비교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개의 기초지방자치단체와 2개의 우수사례를 판단추출하여, 서비스의 내용, 공급조직, 조직 간 네트워크 그리고 정책 수혜자라는 4가지 변수를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태조사 지역에서는 대상업무와 공급조직이 예산, 법 및 제도 등에 의하여 명확히 규정되고 고정적인 수요자 그룹을 상정하고 시・군청이 네트워크의 강한 중심성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우수사례에서는 중간조직이나 복합조직이 형성되어 이를 중심으로 기존의 대상업무를 수요자 중심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새롭게 형성된 조직이 네트워크의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접근, 간부급 공무원에 대한 업무조정 역량 강화, 중앙부처 차원의 시스템의 통합 및 공유 노력, 지역사회정책 업무의 지방이양 등이 제시되었다.


This research is a theoretically grounded empirical study aimed at shedding light on cooperative local governance of social policy in the level of lower level local government. It compared two general cases with two outstanding cases in cooperative local governance, and it draw out some policy implications. Four variances, such as contents of public services, supply organization, network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beneficiaries were used in order to comparative research. Analysis of the empirical study reveals significant findings: in the area of general cases, the contents of public services and supply organization were already strictly regulated by Act, Law, Budget and any kinds of Institutions, and the local governments were at the center of the network. However, in the cases of outstanding, new and hybrid organizations were set-up and they were at the center of the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