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90년대 북한 시의 전반적인 양상은 국가를 아버지의 은유로 인식한 데서 시작한다. 1990년대 북한에서 남한 시를 수록한 것은 북한 체제가 지향하는 프레임을 내세운 것이다. 프레임은 한 종류의 사물을 다른 종류의 사물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경험하는 은유의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에서 연상되는 여러 가지 프레임은 은유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1990년대 북한 시는 은유 과정에서 나온 ‘억압’의 프레임이 또 다른 ‘해방’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양상을 지닌다. 『조선문학』에 <남조선>으로 수록된 전체 19편의 시는 ‘억압’의 프레임을 동일하게 사용한다. 1990년대 『조선문학』 상재된 남한의 시는 북한에서 정치 외적 압력으로 작용하는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분단의 원인을 제국주의에서 찾는다.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과 분단 의식에 내재된 억압의 프레임에는 구속받는 자와, 고통, 그리고 고통에서의 해방 및 자유․희망 의지의 프레임이 생성된다. 이러한 해방 의지는 남한 사회의 모순을 반영한 시편에서 인도자의 필요성을 부여하는 프레임을 암시적으로 드러낸다. 체제의 정당성 확보는 김일성 사망 이후 수록된 김정일 송가 시에서 집약적으로 드러나는데, 이는 김정일 송가 시를 <남조선>의 프레임으로 제시하여 북한 사람들에게 이데올로기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한다. 1990년대 『조선문학』에 상재된 남한의 시는 주체사상에 근거하면서도 대내외적 정치적인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1990년대 『조선문학』에 남한의 시는 정권 교체 시기에 수령에게 당위성을 부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기능하였다.


When it comes to a general characteristic of poems written in North Korea in the 1990’s, how the poems metaphorically recognized the country as a father was the prominent feature of all. In the 1990’s, North Korea published poems written in South Korea, and the purpose of this act was considered a way to express a particular frame which the North Korean system was pursuing back then. A frame would be described in a form of metaphor which would understand and experience one individual object from an angle of another individual object, and because of that, all those frames developed from one single frame would have to go through a process of metaphor. In that regard, in terms of poems written in North Korea in the 1990’s, a frame of ‘suppression’ produced by a process of metaphor was regarded to create another frame of ‘liberation’. A total of 19 poems were included in 『Joseon Literature』 under a name of <South Joseon>, and all those poems were using the same frame, ‘suppression’. The poems, written in South Korea but included in 『Joseon Literature』 in the 1990’s, criticized the imperialism, which was working as a politically external pressure in North Korea, and found a cause of the division from the imperialism. The critical review on the imperialism and the frame of suppression internalized in the awareness of division produced frames of suppressed individuals, pains and liberation from pains as well as other frames of freedom, hope and will. In the poems speaking of contradictions of the society in South Korea, such will to liberation implicitly described a frame of how necessary it is to have a leader. The security of the justice of the system was found collectively in songs for KIM Jeong-il after the death of KIM Il-sung. While presenting the songs for KIM Jeong-il in a frame of <South Joseon>, this led people in North Korea to form a bond of ideological sympathy. The poems written in South Korea but included in 『Joseon Literature』 in the 1990’s spoke for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issues even though they were based on the self-reliance. This feature of the poems written in South Korea but included in 『Joseon Literature』, therefore, acted as a way for North Korea to make its people underst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esence of a leader during the transfer of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