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이태준 『행복에의 흰손들』의 판본 분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43년 남창서관에서 출간된 단행본은 『세동무』이다. ‘삼인우달’이라는 표제의 작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표제 ‘세동무’로 출간된 판본은 두 편이다. 하나는 1943년 남창서관본이고 다른 하나는 1946년 범문사본이다. 셋째, 1949년 광문서림본 외에 같은 해 평범사에서 ‘신혼일기’를 표제로 한 판본이 존재한다. 넷째, 평범사본을 제외한 나머지 세 판본은 모두 같은 판형이다. 1988년 서음출판사에서 나온 『이태준문학전집』 11권 수록 『행복에의 흰손들』은 『조광』 연재본을 저본으로 했다. 같은 해 깊은샘에서 나온 『이태준전집』 4권 수록 『신혼일기』의 저본은 1949년 광문서림본 『신혼일기』이다. 태학사 『한국단편소설대계』 25권 수록 『행복에의 흰손들』(1988.11.20)은 『조광』 원문 영인본이며, 같은 곳에서 나온 『한국장편소설대계』 19권 수록 『신혼일기-일명 세동무』(1988.11.20.)는 1949 광문서림본을 저본으로 삼았다. 본고는 1943년 남창서관본의 실체를 확인하고, 그 표제가 ‘삼인우달’이라 본 기존 논의나 연보가 틀렸음을 밝혔다. 또한 이후에 출간된 단행본들이 이 판본을 저본으로 삼았음을 밝혔다. 1946년 범문사본 『세동무』와 1949년 광문서림본 『신혼일기-일명 세동무』는 모두 1943년 남창서관본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남창서관본에서 저자 표기가 등장하지 않은 점을 확인하고 이 단행본의 정체를 해적판으로 규정했다. 1949년 평범사본 『신혼일기』는 같은 해 출간된 광문서림본 『신혼일기-일명 세동무』를 도용한 판본이라 판단했다. 1988년 『행복에의 흰손들』은 네 차례 전집과 영인본에 수록되었다. 이중 서음출판사본은 최초 연재본을 일부 고쳐 수록했다는 점에서 원본에 가깝고, 깊은샘본은 최종 개작본을 수록했다는 점에서 가장 완성된 텍스트에 가깝다. 또 태학사에서 나온 두 영인본의 경우 동일 작품이 다른 표제로 영인된 것은, 『조광』 연재본과 1949년 광문서림본이 각각 다른 작품으로 오인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저작권 문제와 판본 분화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조광』 연재 이후 출간된 단행본 가운데 1943년 남창서관본은 유일하게 저자의 이름 대신 출판사 사주의 이름을 저작자로 표기했다. 최초 단행본인 1943년 남창서관본이 출간된 이래 그 후속 간행물들은 모두 이 판본을 저본으로 삼았다. 남창서관으로 양도된 판권은 이후 범문사, 광문서림 등으로 이전되었을 것이다. 저자가 아니라 출판업자 간에 이루어진 저작권 양도를 통해 『행복에의 흰손들』은 수차례 새로운 판본으로 재탄생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which is to analyze aspects on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white hands for happiness” by Lee Tae-jun. “The white hands for happiness” had been published serially in the magazine Jogwang from 1942-1943. Following its initial publication, this work was retitled as “The three friends” and published in 1943 by the publisher of Namchang. This edition was the first separate volume of “The white hands for happiness”. Until now, many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on the first separate volume of “The white hands for happiness” as “The Saminwoodal(三人友達)”. But there is no work with that title. There is no name of writer Lee Tae-jun in the edition of Namchang, so this may possibly be a pirate edition. In 1946, “The three friends” was republished at the publisher of Bummun with two volumes. This version inherited the edition of Namchang, but these two editions were comprised of different details. In 1949, “The white hands for happiness” was republished again by two different publishers. One is titled “The diary of new marriage” and was published by a publisher of Gwangmun. This edition appeared identical to the edition of Bummun, but it was published as a separate volume. As the edition of Bummun was originated from Namchang, the editions from Gwangmun and Namchang appear the same. Actually, the editions of Namchang and Gwangmun have identical forms. The other is titled by “The diary of new marriage” and published by the publisher of Pyeugbum. This edition is different from the Gwangmun in detail, but the title is the same. Possibly the edition of Pyeugbum is a pirate edition of the Gwangmun version. Last, there are some errors in the two complete works of Lee Tae-jun. Also two photographic editions mistook the edition of Jogwang for the Gwangmun and misconceived two editions as the same. They did not know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se editions. They must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certainly for further research on Lee Tae-jun and his literature to be more accurate in its accou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