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말뭉치를 활용하여 ‘-도록’의 형태와 분포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도록’의 형태와 통사적 위치를 다시 정리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이 글은 연구자의 직관이 개입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언어의 실질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래서 말뭉치로부터 출발하는 상향식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말뭉치 검색 결과로 추출된 11,198문장을 분석하여 ‘-도록’에 선·후행하는 성분의 분포 제약을 정리하였다. 이는 특히 선행 성분으로 형용사나 ‘이다’나 ‘아니다’가 올 수 있는가 하는 논란, 후행 서술어로 ‘이다’가 쓰일 수 있는 하는 논란에 객관적 근거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대용량의 언어 자료는 지금도 그 처리가 용이치 않다. 그러나 근거 자료를 한정하면서 직관에 기대는 것도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 글은 그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라 할 수 있다.


Morphological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dorok’ in the Corp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