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다산은 다방면에 천재적 면모를 가지고 있는 조선후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실학자 중 하나로 원림 조영에도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 시대 선비 문화에서 원림 조영은 매우 보편적인 것으로 이런 공간의 조영과 향유 활동은 전원을 세속과 반대되는 은자로서의 삶의 공간인 자연, 즉 전원인 이상적 공간으로 읽어 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또한 다산이 살았던 조선 후기에는 서울 중심의 도시문화가 발달하면서, 이상적 전원의 공간이 교외가 아닌 도시에 집중하기 시작한 시기였다. 따라서 다산의 원림 조영과 이에 투영된 전원관은 선대의 전원관과는 분명 다른 지점이 있다. 한편 다산의 전원생활은 유배라는 타의에 의한 교외의 전원생활이었다. 이는 다산의 전원관이 당대의 전원관과도 차별성을 가지는 지점이다. 이런 다산의 전원관을 알기 위해서는 다산의 다양한 저술과 전원관의 실현인 다산의 원림을 조사하여 분석해야 하는 일이 먼저일 것이다. 그러나 다산에 대한 연구는 다산의 저술만큼이나 수많은 연구자들의 업적이 집적되어 있다. 다산에 대한 연구자들의 업적을 다양한 키워드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하여 검토해 보는 일 또한 다산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일 중에 하나라도 생각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산의 전원관이라는 키워드로 다산의 선행연구들을 분류해 보았다. 이에 따라 기존 다산의 전원관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가 조경학적인 접근과 문학적 접근 두 갈래로 주로 연구되었으며, 문학적 접근의 경우 문헌읽기와 전원시 분석으로 나누어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조경학적인 접근은 주로 전원관의 실현인 원림의 구성과 조영 방식을 분석하려는 경향을 보였고, 문학적 접근에 있어 문헌읽기는 원림과 전원에 대한 다산의 저술을 통해 다산이 언급한 이상적 전원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전원시 분석은 전원시에 표현된 이상향이 문학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분석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방대한 다산의 선행연구들을 전원관이라는 키워드로 거칠게 살펴 미진한 부분이 많으리라 여겨지지만, 키워드를 통한 선행연구의 분류와 검토를 통해 다산의 전원관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다산을 이해하는데도 또한 작게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Dasan, who showed aspects of a genius over various fields, is one of the Silhak scholars who are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late Joseon, and had broad knowledge about the Garden Construction. The Garden Construction was highly universal inclassical scholar’s culture in the Joseon Age. The Garden Construction and the activity of joying it can be read as nature, a space of life for hermits against the mundane world, that is to say, an ideal space of Garden. Also, the late Joseon in which Dasan lived was a period in which ideal space of Garden converged on cities rather than on suburban areas as urban culture developed around Seoul. Thus, Dasan’s Garden Construction, and his pastoral view projected to it obviously had something different from earlier pastoral views. On the other hand, Dasan’s pastoral life was suburban life forced by others. This is the point where Dasan’s pastoral view is different from other pastoral views in his times. In order to understand Dasan’s pastoral view as it were, we should first investigate and analyze his Classical Garden, the crystallization of his diverse books and pastoral view. However, the study of Dasan was as huge accumulation of numerous researchers’ contributions as his writings. I think that it isalso necessary to classify the contributions of the researchers in Dasan with various keywords and organize and examine a history of Dasan study. Thus, this paper classifies previous studies on Dasan in terms of the keyword, Dasan’s pastoral view. Based on this, it finds out that the previous studies that have tried to explicate his pastoral view fall within two approaches in general including the approach of landscape construction, the literary approach. The approach of landscape construction tends to analyze the composition and constructive styles of Garden, the crystallization of his pastoral view, and the literature-based approach show the tendency to analyze what is the ideal garden that Dasan mentioned in his writingsabout Garden and nature. Lastly, the literary approach try to analyzehow the utopia expressed in his pastoral poetry is literally realized. Though it has some limitations as it roughly examine previous studies on Dasan in terms of the keyword, Dasan’s pastoral view,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helpful in grasping the stream of previous studies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d examination of them, and in understanding Dasan himself.